728x90 반응형 SMALL 전체953 [보안관련] WiFi 비밀번호는 반드시 걸어서 사용해야합니다. [보안관련] WiFi 비밀번호는 반드시 걸어서 사용해야합니다. 흔히들 보면 SSID가 제조사 디폴트값(ex:iptime)이 굉장히 많이 검색이 된다. wifi의 경우 반드시 비밀번호를 걸어서 사용해야하는데 그냥 편하니까 안 걸고 그냥 막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이야기이다. 이런 경우에는 보안이 완전히 구멍이며 한번 당해보면 크게 멘붕이 와봐야 정신을 차릴수 있다는 이야기로 이어진다. 한 사례로, 비밀번호를 걸지 않고 사용하는 A사무실이 있었다. 온갖 악성코드 및 Virus 감염, Torrent 불법다운로드로 신고를 당했다. 해당 A 사무실에 방문하여 wifi 및 PC에 연결된 것을 모두 조사하였으나 전혀 발견이 되지 않았다. 하지만, 다운로드가 완료된 흔적이 있엇으나 해당 A 사무실이 아니었다. 한마디.. 2022. 11. 5. [추억의 박물관] 56K 모뎀 [추억의 박물관] 56K 모뎀 창고를 정리하던 중에 진귀한(?) 물건이 발견되어서 잠시 추억에 잠겨봅니다. 예전에 약 30여년 전에 사용하던 56K 모뎀.... 속도가 Mega가 아니고 killo 입니다 (1/1000) - 추억의 천리안, 하이텔, 나우누리, 유니텔등....지금은 없어진지 오래지만....(그때는 사이트 가입에도 돈줘야 했음) 한창 PC통신에 미쳐있을때에는 전화비가 20만원이 넘게 나와서 부친께 엄청나게 혼이 났던 기억도 새록새록 하다. 그때 얼마나 혼줄이 났는지 몇달간 용돈이 잘렸던 기억이 아직.....ㅠㅠ 그때만 하더라도 전화비가 무제한이라는 개념도 없고, 인터넷도 요즘처럼 빠르지도 않았는데 도데체 뭐에 홀려 그렇게 했는지 지금도 솔직히 이해가 안가기는 하다. 지금처럼 GUI 환경도 아.. 2022. 11. 2. 네트워크관리사 2급 실기 단답형 - ipsec [문제복원] 네트워크관리사 2급 실기 단답형 - ipsec(A)는(은) 통신 세션의 각 IP 패켓을 암호화하고 인증하는 안전한 인터넷 프로토콜(IP) 통신을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이다. 이 보안은 통신 세션의 개발 IP 패킷을 인증하고 암호화함으로써 처리된다. (A)는(은) 세션의 시작에서 에이젼트들 사이에서 상호 인증을 확립하거나 세션을 맺는 중에 사용할 암호화 키의 협상을 위한 프토토콜을 포함한다. (A)는(은) 호스트 한쌍사이 (HOST와 host), 보안 게이트웨이 사이 (네트워크과 네트워크), 보안 게이트웨이와 호스트 (네트워크와 호스트)에 데이터 흐름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A)는(은) 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 사이에 통신을 지키기 위해 암호의 보안 서비를 사용한다... 2022. 11. 1. 네트워크관리사 2급 실기 단답형 - DMZ 네트워크관리사 2급 실기 단답형 - DMZ네트워크에서 중립지역을 뜻하는 DMZ(demilitarized zone)는 외부에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상황에서 내부 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내부 네트워크와 분리시킨 공간을 말합니다.DMZ는 일반적으로 메일서버, 웹서버, DNS 서버와 같이 외부에서 접근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서버들을 위해 사용된다.중간에 중립지대가 있는데 여기에는 완전히 자유로운 공간이며 단지 인증만을 위한 공간이라고 이해하면 쉽다. 여기를 거치지 않고는 절대로 서버쪽으로 이동이 불가능하며 여기에서 인증이 안된다면 모든게 막히게 하는 구조로 설계된 아주 특별한 영역이라고 이해하면 쉽다.서버나 네트워크 담당자로써 반드시 알아야하는 구간이며 여기에 대한 별도 관리가 필요하다.안전한 네트워크 구성이 .. 2022. 11. 1. 라우터문제 유형 총정리(기출문제) 라우터문제 유형 총정리(기출문제)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마지막 유형인 라우터 3문제가 있다. 각 1문제당 5.5점이며 다 합산시 17.5점이라는 엄청난 점수이다. 이걸 잘 모른다고 해서 포기하시는 수검생들이 좀 있는데 어차피 다른거에서 많이 맞춰서 자격증을 취득하더라도 실무에 나가서는 스위치 설정때문에 애를 먹는 사람이 제법 있다는 이야기를 들은적이 있다.꼭 합격하시고 이해를 해서 실무에서도 쉽게 업무처리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sh관련 명령어1. sh int (라우터의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확인)2. sh user (라우터에 접속한 사용자 정보를 확인)3. sh ip route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확인)4. sh flash (라우터의 플래쉬 내용을 확인)5. sh process cpu .. 2022. 11. 1. [케이블 관련] 라벨프린터의 활용 [케이블 관련] 라벨프린터의 활용 흔히들 라벨프린터를 많이 사용한다. 특히 케이블이나 이런쪽에는 네임펜이나 나비타이로 표기해뒀을때 오래되면 지워지거나 무슨 글자인지 알아보기도 힘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라벨프린터로 깨끗하고 오래가도록 표기하는 편이다. 라벨 프린터는 정말 필수품인것 같다. 예전에는 정말 케이블 표기하는데 별짓을 다했던거같다. 필자가 원래 악필이라서 나중에 내가 적어놓고도 이게 무슨 글자인지 못 알아보는 일도 허다하고 ....남이 내 글자 알아보는게 거의 불가능한 상형문자(?) 수준이 되면 정말 곤란한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라벨프린터가 나오고 나서 이런 상황은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다. 글자도 정말 이쁘게 잘 나오고....무엇보다 마음에 드는 것이 라벨의 색깔을 자기 마음대로 할수 .. 2022. 11. 1. 이전 1 ···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