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네트워크 관련 이론6

서브넷팅을 많이 하면 IP를 손해 봅니다 서브넷팅을 많이 하면 IP를 손해 봅니다.필자에게는 요즘 심각한 고민이 하나 생겼다.  필자가 근무하는 기관에서 새롭게 건물을 계속해서 완공되기 시작되었고 그 건물에 이전 작업을 해줘야 하는 상황이 왔다. 이전이 되는 경우도 있고 신규로 입주하는 경우도 많다. 네트워크를 잘 모르는 일반인 경우에는 뭐...인터넷이야 당연히 되는거 아니냐고 물어보는데...에휴...그래..모르는게 약이지..하는 생각이 든다.입주하기전에 대충 IP 수량을 계산해서 장비에 세팅을 해놓는데 갑자기 host의 수가 늘어나는 경우(예시: 실습실 50대)에는 정말 난감하다. 다른 건물에서 안쓰는 IP 정리해서 서브넷팅을 다시 해야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IP가 많이 남으면 상관이 없지만 IP가 늘 부족하기 때문에 IP 배분에 대한 문제가.. 2024. 4. 19.
[구독자요청] 네트워크 속도 개념 정리 [구독자요청] 네트워크 속도 개념 정리 우선 네트워크를 외부망과 내부망으로 나눠서 구분해봐야 할것 같다. 필자가 영상을 만들때 사용한 ppt파일의 원본을 업로드 해드린다. 자유롭게 받아가셔도 상관없음 글로는 솔직히 적기가 굉장히 힘들어서 상세한 내용은 필자가 제작한 영상으로 봐주셨으면 한다. https://youtu.be/YayRcWL9-LY 필자가 제작한 유튜브 영상이다 아무쪼록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하는 바램으로 오늘의 포스팅을 마친다. 2024. 3. 1.
와일드 카드 마스크에 대해서 알아보자 와일드 카드 마스크에 대해서 알아보자 오늘은 필자가 와일드 카드 마스크에 대해서 알려드리고자 한다. 옛날의 개발자들은 그 당시의 하드웨어 속도를 고려하여 개발을 했으니 필요한 비트만 XOR 게이트를 사용하여 필요한 Data만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서브넷마스크와 와일드카드 마스크는 모두 IP에 함께 사용이 된다. 주로 와일드카드 마스크는 OSPF를 구현하는데 사용이 된다. 그래서, 요즘은 라우팅프로토콜이 OSPF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OSPF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알아야하는 항목이라고 볼수 있다. 기본적으로 둘다 IP 주소에 NetID와 HostID를 구분하는 목적이지만, 단지 표현 방법이 반대일 뿐이라고 보시면 된다. 서브넷 마스크는 NetID를 1로 표현하고 HostID를 0으로 표현한다.. 2023. 7. 30.
네트워크 관련 이론 (Ring방식) 및 광패치 네트워크 관련 이론 (Ring방식) 및 광패치 어제 새벽에 필자의 유튜브채널에 구독자님께서 질문을 하나 주셨다.A장소 - B 장소 - C 장소에 각각 200m씩 떨어져있다는 말씀이다. 이런 경우에는 여러가지 약간 복합적인 경우가 발생하는데 각각 사례를 들어서 설명을 해드리고자 한다. 아뭏든 도움이 되기를 하는 바램에서....^^A,B,C 장소의 위치에 따라서 네트워크 구조가 변경이 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다. 그래서, 솔직히 위치가 아주 중요한 변수인데... Ring 방식의 경우에는 삼각형 구조가 많이 쓰인다.그리고, Star 구조를 살펴보자.필자의 생각으로는 Ring 방식보다는 Star 구조가 맞고 A건물에는 보다 성능이 좋은 장비를 넣는 것을 추천한다.필자라면 차라리 Ring 방식을 선택하지 절대로 .. 2023. 4. 25.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란?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란? 흔히들 DHCP 이야기를 많이 한다. 그냥 유동IP 라고..... 그냥 필자는 이렇게 정리하고 싶다. 고정IP의 반대개념이고 LAN 에 접속하는 PC에 IP 및 각종설정을 몽땅 다 지운 상태라고 보는게 제일 속편하다. (복잡하게 생각하지 말자.) 이렇게 생각하면 제일 간단핟. 뭐...복잡한거 없다. 전부다 자동으로 놓으면 땡이다. 그런데, 여기서 고정IP와 DHCP의 차이점이나 장단점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런 의문점이 들지 않는가? 왜 IP를 이렇게 불편하게 정책을 정할까? 필자가 근무하는 기관에서는 고정IP를 정책으로 한다. 솔직히 DHCP로 하면 난 그냥 죽는다고 보면 된다. 우선은 고정IP를 해야하는 기관에서는 사.. 2022. 11. 19.
[스위치 관련] VLAN에 대한 이해 (이론교육) [스위치 관련] VLAN에 대한 이해 (이론교육) 왜 VLAN을 분리해야하며 VLAN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합니다. 네트워크 관리자가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알아야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VLAN을 모르고서는 절대로 네트워크 관리자가 될수 없으며 VLAN이야말로 네트워크교육의 필수코스 일것이다. VLAN은 네트워크가 대형화되면서 그리고 그 세그먼트를 나누기 위해서 도입되었으며 또한 보안을 요구한 망에서 사용을 하게 되었다. 필자가 관리하는 대형네트워크 망의 경우에는 각 건물별로 VLAN으로 분리를 하였으며 VLAN이 분리되지 않았을때는 굉장히 관리가 힘들었다고 볼수 있다. VLAN을 분리하고 나서는 장애발생률도 많이 떨어지고 장애가 나더라도 그 해당 건물만 국한되므로 전체가 다 다운되는 일은 절대 .. 2022. 10. 31.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