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관련 이론

와일드 카드 마스크에 대해서 알아보자

by 우진아빠의 네트워크 실무 2023. 7. 30.
728x90
반응형
SMALL

와일드 카드 마스크에 대해서 알아보자

오늘은 필자가 와일드 카드 마스크에 대해서 알려드리고자 한다.

옛날의 개발자들은 그 당시의 하드웨어 속도를 고려하여 개발을 했으니 필요한 비트만 XOR 게이트를 사용하여 필요한 Data만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서브넷마스크와 와일드카드 마스크는 모두 IP에 함께 사용이 된다. 주로 와일드카드 마스크는 OSPF를 구현하는데 사용이 된다. 그래서, 요즘은 라우팅프로토콜이 OSPF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OSPF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알아야하는 항목이라고 볼수 있다.

기본적으로 둘다 IP 주소에 NetID와 HostID를 구분하는 목적이지만, 단지 표현 방법이 반대일 뿐이라고 보시면 된다.

서브넷 마스크는 NetID를 1로 표현하고 HostID를 0으로 표현한다. 그래서, C Class의 경우 24비트의 예를 들어보면 32비트 중에서 24비트는 NetID는 24비트이고 8비트가 HostID로 표현이 된다. 즉 이렇게 된다는 뜻이다.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이것을 10진수로 표현하면 255.255.255.0 이 된다. 필자의 구독자라면 이 정도는 다 아시는 내용이라고 생각한다.

그럼 서브넷 마스크를 와일드카드 마스크로 변경해보자.

와일드카드 마스크는 NetID를 0으로 표현하고 HostID를 1로 표현한다고 보시면 된다. 즉 서브넷 마스크와 반대이다.

24비트의 경우에 2진수로 나타내보면..이렇게 표현이 된다.

00000000.00000000.00000000.11111111

이것을 10진수로 표현하면 0.0.0.255 가 된다. 그럼 0이 255가 되는것이고 255가 0이 된다고 보면 되는가? 이건 1/2만 맞는 이야기 이다. 그럼 255.255.255.128 은 어떻게 표현될까?

여기에서 공식이 하나 성립된다. 아주 쉽다.

서브넷 마스크를 와일드카드 마스코로 계산하는 공식이다.

255.255.255.255에서 밑에 서브넷 마스크를 빼버리면 와일드카드 마스크가 된다. 아주 쉽다. 그럼, 문제를 스스로 풀어보시라. 반드시 스스로 해봐야 한다.

빈칸에 와일드카드 마스크로 변환해보자.

이런것은 여러분들이 직접 해봐야 한다. 위에 공식을 대입해서 255.255.255.255에서 해당 서브넷 마스크를 빼보시라.

그럼 정답이 나온다.

정답은 필자가 첨부파일로 올려드릴테니 반드시 스스로 해보는 습관을 가지시길 바란다.

실제로 필자가 근무하는 기관에서 25비트와 24비트로 서브넷팅 한것을 OSPF로 구성한 내용을 보여드린다.

실제장비의 config 이다.

config를 상세하게 설명을 해드리자면

network 10.100.175.0  0.0.0.3 area 0 는 30비트로 백본과 통신하기 위한 설정이라고 보시면된다.

network 172.16.14.0  0.0.0.255 area 0 24비트로 해당 L3에서 사설IP용으로 설정한 라우팅 테이블이다.

network 172.16.22.0  0.0.0.255 area 0  24비트로 해당 L3에서 사설IP용으로 설정한 라우팅 테이블이다.

network 192.168.175.0  0.0.0.255 area 0 24비트로 해당 L3에서 사설IP용으로 설정한 라우팅 테이블이다.

network X. X. X.128  0.0.0.127 area 0 25비트로 해당 L3에서 공인 IP용(범위:128 ~ 255)로 설정한 라우팅 테이블이다.

와일드카드 마스크정답.xlsx
0.01MB

https://www.youtube.com/watch?v=rFVO5JQLYIM

아무쪼록 공부하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이건 절대로 암기하는 것 아니다. 무조건 이해를 해야한다.

오늘의 포스팅을 마친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