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네트워크 장애처리(트러블슈팅) 사례33 사소한 것에도 신경을 많이 써야겠습니다 사소한 것에도 신경을 많이 써야겠습니다.오늘 필자가 운영하는 기관에서 PC를 사용하는 도중에 이런 화면이 자꾸 뜬다고 했다.아...정말 보기 싫은 화면이다.그런데, 이게 좀 말이 안되는게 여기 있는 실이 교육장으로써 전부다 클라우드로 구성이 되어 있는지라 서버에서 네트워크를 통해서 PC로 부팅이미지만 보내는 형식이다. 서버에 이미지가 잘못되었다면 모든 PC가 부팅이 안되어야하고 스위치가 잘못되어도 모든PC가 다 error가 발생해야하기 때문에 서버나 스위치 문제는 절대로 아니라고 단언코 예상이 되었다.그럼 이유가 뭘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다면 중간에 케이블을 의심해볼수 있다.10번 PC 였는데 당연히 10번포트에 꼽혀있다. 10번 포트에 필자의 노트북을 연결해서 써보니 아무런 문제가 없다. 스위.. 2025. 5. 9. [구독자 요청] 갑자기 인터넷이 느려졌는데 도와주세요 [구독자 요청] 갑자기 인터넷이 느려졌는데 도와주세요필자의 유튜브 채널에 구독자님께서 회사의 인터넷이 갑자기 느려졌다고 해결을 도와달라고 요청이 왔다. 필자가 캡쳐를 떠왔다.필자 나름대로 구독자님의 글을 반대로 역설계를 해서 네트워크 구성도를 그려봤다.장애원인 1: KT 모뎀 (공유기 기능이 있는지 모름)과 IPtime 공유기와의 같은 IP 대역 충돌로 인한 장애현상장애원인 2: KT 모뎀을 제거하고 확인장애원인 3: Cisco 스위치 내부에서 Looping이 일어나는지 확인상세한 내용은 필자가 제작한 영상으로 봐주셨으면 한다https://youtu.be/3EG_j5HR0II 2025. 5. 6. 원격지 스위치 설정시 꼭 필요한 꿀팁을 공유합니다 원격지 스위치 설정시 꼭 필요한 꿀팁을 공유합니다필자가 네트워크 엔지니어로 직업을 선택하지 20여년이 넘었다. 세월 정말 빠르다. 어떻게 지나가 버렸는지 모르겠다. 이렇게 여러해가 지나갈수록 필자의 내공은 쌓여간다. 필자가 그간 일을 하면서 엄청나게 많은 스위치들을 설치하고 유지관리를 해왔는데, 이걸 하면서 나름대로 쌓인 노하우를 공유하고자 한다.위 사진처럼 스위치를 세팅하면서 꼭 필요한 부분과 실수를 하지 않기 위해서 어떻게 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인지 알아보자.1. 스위치에 직접 명령어를 내리기보다는 메모장(text)를 최대한 활용하자. - 명령어를 입력하면 그 즉시 적용이 되기 때문에 메모장을 이용하면 실수를 해도 상관이 없다.2. 설정이 완료되었고 원격접속을 하면서 session을 다중화 (2개.. 2025. 5. 2. arp 및 rarp의 개념 및 시연 arp 및 rarp의 개념 및 시연오늘은 필자가 필자가 근무하는 기관에서 특정 PC가 심각한 문제를 유발한다고 사정하고 해당 PC를 강제로 네트워크에서 차단 하는 것을 시연해드리고자 한다.우선, 시연을 하기 전에 이론에 대한 내용이 먼저 설명이 되어야한다. 엄청나게 많은 선로중에서 찾는게 거의 불가능하다. 해당 PC가 어느 장비에 몇번 포트에 꼽혀있는지 찾아야 한다. 그냥 찾아보라고 하면 찾는 것이 절대로 불가능하다.위 장비중에서 1개의 선로라고 가정해보면 과연 찾을 수 있을까? 찾을려면 정말 죽어난다고 보시면 되겠다.그래서, arp와 rarp에 대해서 좀 이해를 해야한다. ARP - 네트워크 환경에서 IP 주소로 부터 수신 호스트의 mac 주소로 변환하는 것이다.즉, 현재 IP 주소를 이용해서 해당 호.. 2025. 2. 6. 광파워미터의 활용 (정말 편리함) 광파워미터의 활용 (정말 편리함)오늘은 필자가 광파워미터에 대해서 포스팅을 할려고 한다. 광케이블은 UTP 케이블과 달리 긴 거리 및 손실없는 빠른 속도를 지원한다. 그래서, 반드시 지하로 포설을 해야하며 광케이블은 주로 건물과 건물사이에 많이 연결이 된다. 또한 UTP 케이블의 전송거리 제한 (100M)를 경과시 광케이블로 연결을 많이 하는데 광케이블에 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정말 골치가 아픈다. 특히, 광케이블로 인한 장애는 대형사고가 발생했다고 보시면 되겠다.그래서, 해당 광포트에서 제대로 신호가 나오는지 아니면 선로가 단선되었는지 확인하는 간단한 기계가 있는데, 이를 광파워미터라고 한다. 필자의 경우에도 이 광파워미터가 있기 전까지는 스위치를 중간에 연결해서 신호가 나왔는지 확인을 하였는데 전기도 .. 2025. 1. 3. 스위치 파워장애 처리 (장비불량 발생 ㅠㅠ) 스위치 파워장애 처리 (장비불량 발생 ㅠㅠ)필자가 근무하는 기관에는 각 건물마다 L3 스위치가 있다. 해당 건물의 게이트웨이가 되겠다. 이 L3 스위치가 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필자는 아마 미쳐버릴 것이다.그래서, 필자는 모든 건물의 L3 스위치의 장비를 전원을 갈아끼울수도 있고 전원이 2개가 연결되도록 파워이중화를 구현했다. 전원이 이중화이니 1개가 고장나도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고장난 파워모듈을 A/S 보내면 된다. 네트워크를 운영하는데 굉장히 효율적이라고 보시면 되겠다. 이해가 잘 안가는 분들을 위해서 그림으로 설명드리겠다.위 그림처럼 보통의 스위치 같은 경우에는 파워모듈이 내장되어 있어서 분해가 불가능하며 파워가 고장나면 바로 교체를 진행하는 것이 훨씬 빠르다.더욱더 좋은 것은 핫스왑(전원이 들어와.. 2024. 12. 27. 이전 1 2 3 4 ··· 6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