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실생활에 사용되는 전산관련 꿀팁116 노트북을 TV로 연결해서 영화를 즐겨보자 (HDMI 연결) 노트북을 TV로 연결해서 영화를 즐겨보자 (HDMI 연결)필자의 집에도 TV가 있다. 예전에는 PC를 TV에 연결해서 영화를 한편 볼려면 인코더라는 기계를 이용해서 영화를 보곤 했었다. 그나마 화질이 떨어지는 채로...화면은 RGB로 사운드는 AUX로 연결해야했고 해상도 역시 1024 * 768이 한계였다. 그래서, 화면의 왜곡이 일어나곤 했었다. 그래도, 영화를 감상하곤 했었다.요즘은 TV에 HDMI 단자도 잘 나오고 노트북도 HDMI가 있다보니 아주 단순하게 케이블 1개로 TV가 하나의 듀얼모니터처럼 콘트롤이 가능하다. 물론 TV에 USB를 바로 연결해서 divx 플레이어가 내장된 TV가 있거나 아니면 TV를 보기 위해서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넷플릭스를 통해서 영화를 봐도 된다. 필자의 경우에는 필자.. 2025. 5. 1. [제품리뷰] POE Passive Adapter [제품리뷰] POE Passive Adapter오늘은 필자가 POE Passive Adapter에 대해서 제품리뷰를 할려고 한다. 우리가 보통 집에서 쓰는 인터넷을 보면 1개의 회선을 사용해서 인터넷이 구성되는데 이게 KT나 LG 기사들이 오면 1개만 설치해주지 각 방마다 연결을 해주지는 않는다. 그래서, 이렇게 방에 network 케이블을 길게 펴서 쓰다가 인터넷을 안쓸때는 다시 케이블을 걷으려고 하면 정말 귀찮다.그래서, 신발장을 열어보자이렇게 신발들이 보인다. 안에 찾아보면 통신단자함이 보인다. 그 통신단자함을 열어보자여기에다가 공유기를 설치해서 각 방에서 오는 110블럭의 케이블을 연장해서 공유기에다가 꼽아주기만 한다면 모든 방에 인터넷이 되는 구조로 만들수 있다. 그런데, 위 사진을 보면 함체.. 2025. 4. 22. Win11 설치를 위한 최소 사양과 호환성(TPM 2.0) 확인은 어떻게? Win11 설치를 위한 최소 사양과 호환성(TPM 2.0) 확인은 어떻게?필자도 Windows를 사용하는 user이지만 요즘 Win10의 서비스 중단예정 (2025. 10. 14.)으로 인해서 필자가 근무하는 기관에서도 PC 사양때문에 고민중에 있다. (구형 PC를 모두 교체하려면 돈이 많이 들어간다)필자도 이때까지 Windows 계열의 OS를 사용해왔다. 아마 대부분일꺼다. 그런데, Win98 - Win Me - Win 2000 - Win XP - Win7 - Win 10 이런식으로 계속해서 OS의 서비스가 중단될때마다 필자는 OS를 교체해와왔다. 문제는 필자만 이걸 교체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필자가 근무하는 기관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다 적용해야하니까....이게 완전 힘든 작업이라는 이야기가 되겠다. .. 2025. 4. 17. HOT Swap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기기를 추가하는 기능) HOT Swap ???오늘은 필자가 HOT Swap에 대해서 알려드리고자 한다. 도데체 HOT Swap이 뭔지 궁굼하신 분들이 계실꺼다. 보통 IT기기를 다룰때는 물리적인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경우에는 전원을 끄고 작업을 진행한다. 예를 들어서 PC의 Disk를 교체하거나 메모리, CPU, VGA 카드등 거의 모든 작업이 전원을 끈 상태에서 조립하던지 분해하던지 이루어진다.그런데, 전원을 끄지 않고도 작업이 가능한 장치들이 있다. 가장 대표적인것이 USB 메모리나 외장하드라고 보시면 되겠다. 이런 USB를 연결해서 파일을 복사하는데 전원을 끄고 다시 켜야한다면 시간도 많이 걸리고 굉장히 귀찮아진다. 그래서, 서버나 중요한 기기들은 중간에 전원을 끄기가 굉장히 어렵기 때문에 Disk만이라도 추가할려면 .. 2025. 4. 4. USB C 타입 HUB (다양한 인터페이스 지원) USB C 타입 HUB (다양한 인터페이스 지원)필자도 노트북을 많이 사용한다. 그런데, 요즘 나오는 노트북은 USB가 아예 없거나 있어봐야 1개 밖에 없다. 그런데, C type은 여러개가 나온다. C type이 빠르고 편리하나 아직까지는 USB A type이 많이 널리 보급되어 있는 상태라서 아직까지는 USB A type이 대세라고 보시면 되겠다. 아직까지 USB 3.0이 속도는 잘 나오니까....밑에 부분을 살펴보면....이게 좀 더 황당한게 뭐냐면 전부다 동시에 동작을 한다는 이야기이다. C type으로 연결해놓고 어느 한 기능만 되는것이 아니라 USB 3.0에 마우스 동글로 연결해서 무선 마우스를 사용하면서 TP를 가지고 유선인터넷도 쓰면서 HDMI로 확장영상으로 듀얼모니터 설정까지 동시에 다 .. 2025. 4. 3. [구독자 요청] NTFS에서 exFAT로 변환도 가능 할까요? [구독자 요청] NTFS에서 exFAT로 변환도 가능 할까요?필자의 유튜브 채널에 질문이 올라왔었다. 새벽쯤에 올라온 글이라서 필자는 그때 잠을 자고 있을때라서....아침에 발견을 함우선 급하게 글로 설명은 해드렸지만 아무래도 영상이 훨씬 더 현실적인 것 같아서 급하게 제작을 하였다. 요즘 필자가 좀 바쁨..전에 필자가 파일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을 드린적이 있다.1. FAT32 - 이건 파일의 최대 사이즈가 4G이상 인식을 못한다. 하나의 예를 들어보자면 필자의 하드(NTFS)에서 USB(FAT32) 파일을 복사할려고 가정한다면 4G 이하의 파일은 복사가 잘 되는데 파일1개가 4기가를 넘어간다면 해당 파일이 복사가 안된다. 아무리 USB에 용량이 많이 남아 있어도 상관이 없다.2. NTFS - Win.. 2025. 3. 29. 이전 1 2 3 4 ··· 20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