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관련 이론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란?

by 우진아빠의 네트워크 실무 2022. 11. 19.
728x90
반응형
SMALL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란?

흔히들 DHCP 이야기를 많이 한다. 그냥 유동IP 라고..... 그냥 필자는 이렇게 정리하고 싶다. 고정IP의 반대개념이고 LAN 에 접속하는 PC에 IP 및 각종설정을 몽땅 다 지운 상태라고 보는게 제일 속편하다. (복잡하게 생각하지 말자.)

필자가 마음대로 넣은 IP (고정IP)
필자가 그냥 몽땅 다 지운 IP (DHCP)

이렇게 생각하면 제일 간단핟. 뭐...복잡한거 없다. 전부다 자동으로 놓으면 땡이다.

그런데, 여기서 고정IP와 DHCP의 차이점이나 장단점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런 의문점이 들지 않는가?

왜 IP를 이렇게 불편하게 정책을 정할까? 필자가 근무하는 기관에서는 고정IP를 정책으로 한다.

솔직히 DHCP로 하면 난 그냥 죽는다고 보면 된다. 우선은 고정IP를 해야하는 기관에서는 사용자의 주체가 명확해야하고 누가 이 IP 주인이냐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보면된다. 해킹이라든지 악성코드 등 각종 침해사고가 날아오면 고정IP를 사용하는 기관에서는 관리가 굉징히 편리하고 사용주체가 정확하게 나눠져 있으니까 누가 범인인지 금방 찾아낸다. 반면에 DHCP로 해놨다고 하면 필자는 이미 사직해도 몇번 사직했을 것이다.

하지만, DHCP가 무조건 나쁘다는 것도 아니다. 예를 한번 들어보자. 아파트가 있다고 치자. 필자는 아파트에 들어가는 IPS의 직원이다.  이게 만약에 고정 IP 정책이라고 치면 필자는 죽었다고 복창해야한다.

집에 보면 어린애들이나 어르신들이 계신곳도 많고, 비록 젊은 사람들이라고 해도, 인터넷이나 이런거 설정 모르는 사람들이 생각보다는 엄청나게 많다. 예를 들어서 101동 101호에 인터넷이 안된다고 고장신고가 왔는데 고정 IP 정책이라고 하면 거기 101호의 IP는 192.168.100.25번에 서브넷 마스크가 어쩌고 저쩌고 게이트웨이는 몇번인데....혹시 DNS는 몇번 넣으셨어요? 이렇게 하면 솔직히 대화가 되겠는가?  그냥 가는게 속편하지.... 이렇게 가다보면...정말 죽는거다. 정말 힘들어질꺼다. 그리고, 보통 아파트가 1000세대 정도되면 실제 IP 할당은 약 70% 밖에 하지 않는다. 전부다 동시에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전체를 깔고 시작했다고 보면된다. IP 부족현상을 어느 정도 고려한 정책이라고 보면 된다. 고정 IP정책이라면 1000세대라면 무조건 1000개 있어야한다. IP 없으면 당연히 인터넷 안되니까..당연한 결과다. 하지만 DHCP는 기기를 끄게 되면 IP가 자동으로 반납되는 구조라서 어느 정도 고정IP에 비해서 여유가 있다고 보면 정확하다. 

그래서, 고정IP가 좋다. DHCP가 좋다.. 이건 정답이 없다. 그냥 그 환경에 맞도록 IP 정책을 수립하는게 맞다고 본다.

DHCP (이론).ppt
0.97MB

상세한 설명은 제 유튜브채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youtu.be/VZFZzGQB0bU

오늘의 포스팅을 마친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