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생활에 사용되는 전산관련 꿀팁

IP 주소 변경방법 (사용자가 스스로 할줄 알아야 한다)

by 우진아빠의 네트워크 실무 2023. 12. 9.
728x90
반응형
SMALL

IP 주소 변경방법 (사용자가 스스로 할줄 알아야 한다)

요즘 필자가 필자가 근무하는 기관에서 IP에 대해서 굉장히 질문을 많이 받는다. 왜 집에 있는 공유기를 가져오면 안되고...여기에서 쓰던 공유기를 가져가면 집에서 안되냐고....ㅠㅠ

솔직히 굉장히 답답한 부분인데....IP 정책에 대한 이야기라서 좀 길어진다. 그래서, 이 이야기는 나중에 하기로 하고 건물에서 건물로 이동할때는 반드시 IP를 변경해야 한다. 왜냐하면 필자가 건물을 기준으로 L3 라우팅과 VLAN을 다 분리를 해놨기 때문이다. 라우팅과 VLAN을 분리한 이유로는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더 이상 백본쪽으로 올라오지 못하게 막을 수 있다는 점이 있고 해당 건물만 장애가 발생하지 전체에 영향을 주지 않는 다는 굉장한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VLAN을 전체(통)로 구성하게 되면 장애가 발생하면 어느 건물에서 문제를 일으키는지 찾기가 굉장히 힘들어진다. 그래서, 네트워크를 설계할때도 VLAN 과 라우팅을 분리해주는 것을 강력하게 추천한다.

이런 내용은 솔직하게 이야기하면 필자같은 네트워크 관리자가 알아야 하는 내용이고, end user 같은 경우에는 자기 PC의 IP를 확인하거나 변경하는 정도만 알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이 사례를 기준으로 한번해자.

절대로 어려운 부분이 아니니 천천히 따라 하시면 된다.

우선 제어판에 들어가보자.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를 실행하자
속성을 누르자
tcp/ip 를 선택하고 속성을 누르자
현재 IP가 보인다.

값을 다 지우던지 아니면 자동으로 IP 주소받기를 선택하면 값이 모두 다 지워진다. 그리고 값을 입력해보자.

변경될 값으로 수정하고 확인을 누르면 끝이다.

이렇게 IP 변경하는 방법을 알려드렸다. 크게 어려운 내용은 없다고 생각하지만, 처음 해보시는 분은 어려워 할수도 있다. 하지만, 인터넷이 일상화된 지금 이 시점에 자기 IP가 몇번이고 이사나 자리를 이동하게 되면 IP 정도는 스스로 수정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관리자가 일일이 다 해줄려면 힘들다. IP 정도는 스스로 수정할줄 알아야 한다.

오늘의 포스팅을 마친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