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생활에 사용되는 전산관련 꿀팁

기생충 wifi (?) - wifi 만들어서 쓰기

by 우진아빠의 네트워크 실무 2023. 12. 8.
728x90
반응형
SMALL

기생충 wifi (?) - wifi 만들어서 쓰기

필자도 휴대폰 Data 요금에 대해서 압박을 좀 받고 있다. 즉,  무제한 사용은 아니라는 뜻이다.  그나마 현재 1.5Giga를 사용하고 있는데 항상 Data 사용을 자제하면서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필자 주변에 있는 wifi를 굉장히 잘 이용하는 편이다.

wifi가 안 잡히면 이렇게 될수도 있다.

Data가 모자라니 저런 모습도 이해는 간다. 필자도 wifi를 이용해야 할때 이동하면서 사용을 한적이 있다.

보통 집에서 거실에 공유기 (wifi)가 설치가 많이 되어 있고 방에 들어가면 wifi가 잘 안터지는 경우가 많다. 전파가 약하거나 끊기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래서, 인터넷이 되는 노트북이나 PC(무선랜카드를 장착해야함)를 wifi로 만들수 있는데 1대당 최대 8명의 user가 동시 접속이 가능하다. 

즉 이러하다는 뜻이다.

필자도 마찬가지이겠지만 침대에 누워서 휴대폰을 보는 경우가 많은데 음영지역이다. 그래서, 핸드폰을 최대한 공유기쪽에 가깝게 할려고 한 기억이 다들 있으리라 생각한다. 노트북에는 무선랜카드가 기본적으로 다 장착이 되어 있으니 일반 Desktop PC에대가 무선랜카드를 장착해서 이 PC를 wifi로 만들어보자.

일단 무선랜카드를 선택하자.
설정에 진입하자
제어판에 네트워크 및 인터넷을 실행하자
모바일 핫스팟을 실행해보자. 무선랜카드가 있어야만 이 메뉴가 생긴다
기본값은 끔인데 켬으로 변경하자
이렇게 wifi이름과 비밀번호를 지정이 가능하다

이렇게 wifi가 안되는 구간을 인터넷이 되는 PC나 노트북을 이용해서 임시로 wifi를 만들어서 쓸수가 있다. 필자의 경우에는 행사에 이렇게 많이 사용하는데, wifi를 설치해달라고 하면 유선시설이 되는 곳에다가 PC에 바로 무선랜카드(USB형)를 장착하고 설정을 해버린다. 그러면 8명이 1대의 PC에 설정이 가능하니까 10대만 설치해도 wifi가 80대 사용이 가능하다는 결론이 난다. 이렇게 오늘은 wifi를 만들어서 쓰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렸다. 이 방법을 사용해서 연결하면 wifi의 속도도 굉장히 빠른 편이다.

상세한 내용은 필자가 제작한 유튜브 영상으로 봐주시면 되겠다.

https://www.youtube.com/watch?v=0dV20qycc9g

필자가 제작한 영상이다.

아무쪼록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오늘의 포스팅을 마친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