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리뷰] POE Passive Adapter
오늘은 필자가 POE Passive Adapter에 대해서 제품리뷰를 할려고 한다. 우리가 보통 집에서 쓰는 인터넷을 보면 1개의 회선을 사용해서 인터넷이 구성되는데 이게 KT나 LG 기사들이 오면 1개만 설치해주지 각 방마다 연결을 해주지는 않는다. 그래서, 이렇게 방에 network 케이블을 길게 펴서 쓰다가 인터넷을 안쓸때는 다시 케이블을 걷으려고 하면 정말 귀찮다.
그래서, 신발장을 열어보자
이렇게 신발들이 보인다. 안에 찾아보면 통신단자함이 보인다. 그 통신단자함을 열어보자
여기에다가 공유기를 설치해서 각 방에서 오는 110블럭의 케이블을 연장해서 공유기에다가 꼽아주기만 한다면 모든 방에 인터넷이 되는 구조로 만들수 있다. 그런데, 위 사진을 보면 함체내부에 공유기에 전원을 줄수 있는 전기 콘센트가 없다.
아무리 선로 결선을 잘 한다고 해도 공유기에 전원이 안 켜진다고 하면 말짱 도루묵이다. ㅠㅠ
그래서, 여기에 필요한 것이 POE Passive Adapter이다. 어떻게 생겼는지 살펴보자.
전체적인 구성은 이러하다.
Network 케이블에 전원을 실어서 보내는 것인데 일종의 POE Switch처럼 생각해도 되겠다. 전에 필자가 RJ 45 jack의 pin에 대해서 설명을 해드린적이 있다.
https://tech-network.tistory.com/entry/RJ-45-jack-%EC%84%A4%EB%AA%85
[케이블 관련] RJ 45 jack 설명
[케이블 관련] RJ 45 jack 설명 RJ 45jack은 UTP cable에 연결되는 커넥터의 종류이다. LAN의 경우 RJ 45 jack, 전화의 경우 RJ 11 jack을 사용한다. 흔히 RJ 45 jack을 많이 사용하고 잘못 찍어서 다시 접속하는 경
tech-network.tistory.com
1,2번은 송신 (주황색) 3,6번은 수신 (녹색) 전원 +는 4,5번 전원 -는 7,8번이라고 설명을 해드렸다. 이를 아주 짧게 케이블을 만들어서 임시로 결선을 해봤다.
신발장안에 공유기를 설치해야하는데 전원이 없다고 가정하면 이렇게 POE Passive Adapter를 이용해서 기존에 포설된 네트워크 케이블을 이용해서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이 있다고 보시면 되겠다. 단, 전력으로 사용하는 방에는 인터넷 설치는 포기해야 한다. 가장 좋은 사례는 신발장안에 전원이 있는 것이 작업이 가장 편하다.
오늘은 이렇게 POE Passive Adapter에 대해서 설명을 드렸다. 상세한 내용은 필자가 제작한 영상으로 봐주셨으면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KWE0f1muqL4
'실생활에 사용되는 전산관련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11 설치를 위한 최소 사양과 호환성(TPM 2.0) 확인은 어떻게? (3) | 2025.04.17 |
---|---|
HOT Swap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기기를 추가하는 기능) (2) | 2025.04.04 |
USB C 타입 HUB (다양한 인터페이스 지원) (2) | 2025.04.03 |
[구독자 요청] NTFS에서 exFAT로 변환도 가능 할까요? (2) | 2025.03.29 |
노트북의 C 타입 포트를 이용해서 노트북의 긴급충전(썬더볼트) (2) | 2025.0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