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필기,실기)/케이블 제작

[케이블 관련] RJ 45 jack 설명

by 우진아빠의 네트워크 실무 2022. 11. 1.
728x90
반응형
SMALL

RJ 45 jack.pptx
0.07MB

[케이블 관련] RJ 45 jack 설명

 

RJ 45jack은 UTP cable에 연결되는 커넥터의 종류이다. LAN의 경우 RJ 45 jack, 전화의 경우 RJ 11 jack을 사용한다.

흔히 RJ 45 jack을 많이 사용하고 잘못 찍어서 다시 접속하는 경우도 많다.

초보인 경우에는 순서를 많이 틀리고 녹색의 경우 4,6번이 서로 순서가 바뀌어 찍어야 568B Type으로 결선해줘야 정상적으로 작업을 했다고 볼수 있다. 보통 초보자의 경우 실수를 많이 하는데

1. RJ 45 jack을 뒤집어서 결선하는 경우 - 이럴 경우에는 배열이 완전히 반대가 된다.

2. pin끝까지 UTP cable 닿지를 않아서 단선으로 인식되는 경우도 있다.

3. RJ 45 jack의 잦은 재결선으로 인해서 위에 고정핀이 부러져버리는 경우가 있는데 접촉불량의 장애로 이어진다.

4. 결선시 피복의 일부가 Jack의 일부에 삽입이 되어야하는데 삽입이 안되어서 덜렁덜렁하게 결선이 되어서 연결이 안되는 경우도 존재한다.

대체로 보면 경험부족이나 연습부족으로 인해서 많이 하는 실수로 생각된다. 필자의 경우에도 많은 실수를 통해서, 그리고 많은 연습으로 인해서 지금의 단계에 이르렀다. 지금 1개를 결선하는데 컨디션에 따라 다르지만 좋으면 25초이내 나쁘면 35초 이내.....평균적으로 아무리 늦어도 30초면 1개를 결선가능하다. 

오직 연습만이 정답이며, 많이 해볼수록 실수는 줄어들고 실력은 늘어난다고 100% 믿는다.

RJ 45 jack을 자세히 보면 8개의 Pin이 존재하는데 각 Pin마다 하는 역할이 다르다.

예전에는 KT나 LG등에서 인터넷 설치하는 기사들이 와서 연결을 해줬는데 RJ 45 jack pin의 1,2,3,6번만 사용해서 인터넷을 연결해주고는 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잘못된 결선이라는 것을 알수 있다. 그때는 왜 몰랐었는지???

RJ 45 jack은 요즘 1기가 인터넷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8가닥을 모두 사용하기때문에 위에 4가닥만 이용하여 연결하게 되면 절대로 100M이상의 속도는 기대하기가 힘들며 또한 POE 결선시 전력이 흐르지 않기 때문에 POE  결선이 아예 불가능하게 되어버린다.  반드시 568B Type으로 결선해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오직 연습만이 정답임을 강조하면서 오늘의 포스팅을 마친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