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생활에 사용되는 전산관련 꿀팁

[구독자 요청] NTFS에서 exFAT로 변환도 가능 할까요?

by 우진아빠의 네트워크 실무 2025. 3. 29.
728x90
반응형
SMALL

[구독자 요청] NTFS에서 exFAT로  변환도 가능 할까요?

필자의 유튜브 채널에 질문이 올라왔었다. 새벽쯤에 올라온 글이라서 필자는 그때 잠을 자고 있을때라서....아침에 발견을 함

이렇게 질문이 올라와있다.

우선 급하게 글로 설명은 해드렸지만 아무래도 영상이 훨씬 더 현실적인 것 같아서 급하게 제작을 하였다. 요즘 필자가 좀 바쁨..

전에 필자가 파일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을 드린적이 있다.

1. FAT32 - 이건 파일의 최대 사이즈가 4G이상 인식을 못한다. 하나의 예를 들어보자면 필자의 하드(NTFS)에서 USB(FAT32) 파일을 복사할려고 가정한다면 4G 이하의 파일은 복사가 잘 되는데 파일1개가 4기가를 넘어간다면 해당 파일이 복사가 안된다. 아무리 USB에 용량이 많이 남아 있어도 상관이 없다.

2. NTFS  - Windows에서 주로 사용되는 파일포맷 형식이다. 파일 1개의 크기의 인식이 최대 32G 이기 때문에 왠만한 것은 다 된다고 보시면 되겠다. 그래서, 주로 NTFS가 굉장히 많이 사용된다고 보시면 된다.

3. exFAT - Windows도 가능하고 apple의 맥켄도시에서도 된다. 그래서, 이 시스템을 동시에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이 선택하는 포맷 형식이다. 맥켄도시에서 제작한 파일을 windows 계열로 옮겨야 할때 혹은 그 반대일때이다.

파일 시스템에 대한 설명은 여기까지하고 중요한 것은 USB를 포맷해야 하느냐 마느냐 인데....

1. FAT32 에서 NTFS로 변환시 (포맷할수도 있고 안 할수도 있다. - 선택 가능- 백업 귀찮음)

2. NTFS에서 exFAT로 변환 (반드시 포맷)

3. exFAT에서 NTFS (반드시 포맷)

4. NTFS에서  FAT32로 변환 (반드시 포맷)

5. exFAT에서 FAT32로 변환 (반드시 포맷)

필자의 구독자님께서 원하시는 그림을 바로 캡쳐해봤다.

우선 USB를 선택하시소 우클릭....

포맷을 선택하자
현재는 NTFS로 되어있다
exFAT로 변경후 시작을 하자
다 지워진다고 경고가 나온다

우선 포맷하면 복구가 힘드니 안에 있는 내용을 왠만하면 백업 받을 수 있도록 하자

이렇게 포맷이 완료되었다
이렇게 변경이 완료되었음을 알수 있다

상세한 내용은 필자가 제작한 영상으로 봐주셨으면 하는 바램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zyQ5VXMGegE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