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생활에 사용되는 전산관련 꿀팁

늘어가는 각종 스마트기기....가정용 SOHO 공유기에 몽땅 연결할 수 있나요?

by 우진아빠의 네트워크 실무 2022. 11. 25.
728x90
반응형
SMALL

늘어가는 각종 스마트기기....가정용 Soho 공유기에 몽땅 연결할 수 있나요?

요즘 가정에서 사용되는 각종 스마트기기 (휴대폰, 테블릿, 노트북 등)가 4인 가구 가족으로 볼때 휴대폰은 1인당 최소 1개 이상, 노트북도 2개 정도는 된다. 거기에다가 일반 Desk Top도 있드면 어떻게 연결이 될까?

가정내 일반 공유기에는 스마트 기기를 몇 대까지 연결이 가능할까? 라는 의문이 든다.

간단히 생각해보면 " 가정내에 설치된 공유기에 따라서 다르다"라고 이야기가 된다.  설치된 환경은 개개인마다 천차만별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각 집에 들어온 ISP 환경도 다 다르다.  우선 여기에서는 ISP는 제외하고 대부분의 공유기 (iptime)으로 가정한다면 실제 공유기가 뿌려지는 IP 대역은 192.168.0.0/24로 정의 되며  IP는 192.168.0.0 ~ 192.168.0.255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자...여기에서 0번은 네트워크 ID라고 해서 사용이 불가능한 IP 이며, 255번은 브로드캐스트 IP라고 해서 사용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공유기의 gateway로 사용되는 1번 (보통 거의 다 1번을 사용 많이 한다.)도 사용이 불가능해지므로 이론상으로 2번에서 ~ 254번까지 총 253개의  IP가 사용이 가능하다.

필자의 경우에는 공유기 1개에 최대 66대의 유선 선로로 구성을 해본 경험이 있으며 각 기기별로 유튜브라든지 동영상 스트리밍 사이트에서 엄청나게 과부하를 줘 봤지만, 공유기는 끄떡 없었다. 그래서 요즘은 NAT로 실습실을 구성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 (공인 IP가 모자라는 것땜에 맨날 머리를 쥐어 뜯고 있다.- IP부족현상으로 인해어 서브넷팅과 IP 변경도 심히 고려하고 있는 상태다.)

하지만, 무선으로 공유기를 연결할때에는 이야기가 달라진다.

공유기는 2.4G의 대역과 5.0G의 대역으로 나눠지는데 2.4G는 주파수의 특성상 많이 접속하면 굉장히 느려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지라 2.4G로 노트북을 10대만 연결해도 엄청나게 속도가 떨어진다. 유선으로 연결하는 것이랑 엄청난 차이가 발생한다. 대부분의 공유기 제조사에서는 1개의 기기당 유무선을 포함해서 30개 내외의 장치 연결을 권장한다. 연결되어 있더라도 활성 상태가 아니라면, 즉 실제 움직이는 데이터량이 없다면 기기의 성능에는 영상을 미치지 않는다. 사용중인 기기의 트래픽에 따라서 실제 영향을 준다는 이야기가 성립된다. 

결론을 내자면 거의 모든 IP 공유기가 일반 가정의 스마트 기기 수용에는 문제가 없다고 보면된다. 필자의 환경을 보면 유선 PC 1대, 노트북 2대, 스마트폰 5개, 테블릿 2개 정도를 사용하는데 공유기 1에 다 붙여서 사용한다. 무선의 경우에는 2.4G 보다는 5.0G로 다 연결을 해둔 상태이지만....

그렇게 다 동시에 켜서 많은 트래픽을 유발시켜봤지만 웹페이지가 느리게 뜨거나 버퍼링이 되지는 않았다. 즉 한꺼번에 이 정도는 사용해도 큰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고 이야기 할수 있다. 

앞으로 이런 기기의 사용이 늘면 늘었지 절대로 줄어들지는 않는다고 생각한다. 필자의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