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각종 케이블 및 제작방법

[구독자 요청] 네트워크 설치 질의 관련

by 우진아빠의 네트워크 실무 2023. 5. 22.
728x90
반응형
SMALL

[구독자 요청] 네트워크 설치 질의 관련

필자의 블로그에 유튜브를 통해서 한 구독자님의 요청사항이 들어왔다. 

구독자님께서 요청하신 내용이다.

질문이 일단 보통의 구독자님보다는 많고 어느 정도 네트워크를 아시는 분같다. 같은 엔지니어라서 서로 같이 고민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매우 즐거운 일이다. 이왕하는거 같이 웃으면서 해결하는 것은 좋은 일이라고 생각한다.

Q1: 멀티 vs 싱글 어떤것을 해야하나요?

A1: 우선 멀티와 싱글의 차이점을 이해해야 하는데....가장 중요한 것이 각 광케이블이 지원하는 거리이다. 멀티모드의 경우 500m 정도이고 싱글모드의 경우 70Km 이상을 지원한다. 거리로 보면 싱글모드의 완승이다. 그리고, 요즘은 10G를 지원하는 장비가 많이 보급되었고 가격도 많이 내려왔기에 향후 고속의 네트워크로 업그레이를 고려하신다면 무조건 싱글모드로 공사를 해야한다고 필자는 이야기를 드리고 싶다.

이것과 약간 별개의 문제이긴 한데 구독자님께서는 건물외벽으로 광케이블을 설치하고 싶다고 말씀을 하셨다. 음....이건...

케이블이 좀 지져분하다. ㅠㅠ

필자는 이렇게 설치하는 것은 개인적으로 반대이다. 우선 지져분하고...관리 또한 힘들며 다른 케이블 포설하다가 구독자님의 케이블을 손상 시킬수 있는 확률이 매우 높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왠만하면 건물의 내부로 공사가 이뤄졌으면 하는 바램이다. 그래서, 필자가 근무하는 건물의 예시를 영상으로 제작해봤다.

필자가 근무하는 건물의 EPS실을 찍어봤음

이런식으로 화장실같은 곳에 구석에 보면 각 건물마다 EPS실이라는 것이 있는데 각 층에서 모든 케이블이 벽면에 설치된 트레이를 타고 내려온다고 보시면 된다. 각 층마다 트레이가 다 설치되어있는데 각 층마다 모두 구멍이 뚫려있다고 보시면 정답이다. 층간마다 여기를 타면 굉장히 편하게 층간 공사가 가능한 구조이다.

일단 트레이를 타고 공사가 완료되었다고 가정해보자. 그럼 광케이블을 접속을 해봐야 한다. 필자의 네트워크 장비실에 광을 접속하지 않은 신축건물이 있어서 광케이블의 동영상을 찍어봤다.

이렇게 광케이블을 접속하기 전의 영상이다.

그리고, 광케이블을 접속후의 영상이다. 다른 케이블이지만 어차피 저 케이블도 접속하면 똑같은 형태가 된다.

 

광케이블을 접속하게 되면 이렇게 된다. 실물로 보는게 최고임

Q2: 케이블 2C면 충분한가요? 인터넷에는 48C 12C 다양하게 있던데 한 케이블만 필요하니까 TX, RX 한개이니까 2C면 충분한가요?

A2: 광케이블은 최소 4C부터 128C까지 정말 다양합니다. 256C도 있나 모르겠네요. 저는 128C까지는 제 눈으로 봤습니다. 구독자님께서 말씀하신 2C는 가능합니다. 4C케이블을 포설하고 실제 접속은 2C만 하면 되니까요....이런식으로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기존 2C가 파손된다면 골치가 아픕니다. 연결해둔 8층 전체가 장애가 생긴다고 보시면 되죠. 그래서, 4C정도는 추천드립니다. 문제가 생겨도 다른 예비 Core를 사용해서 돌리면 되니까 예비core는 항상 많을수록 좋습니다. 하지만, 경제적인 문제도 고려 안 할수가 없죠?  4C나 12C나 접속비용은 동일합니다. 12C 이하는 인건비가 250,000원 정도 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일단 사람 부르면 무조건 인건비가 발생합니다.

Q3: RJ 45 처럼 Tool이 있어야 만들수 있는건가요? 인터넷에 찾아보니 선을 자르는 것도 광케이블이라 Tool을 써야 한다고 하는데, 한번만 설치하면 더 쓸일이 없을것 같아서 Tool은 가능한 사지 않으려고 합니다.

A3: 광케이블은 구독자님께서 말씀하신것 처럼 별도의 Tool이라기보다 기계가 있습니다. 광케이블은 아시다 시피 구리선이 아니라 유리섬유입니다. 그래서, 자르는 것도 별도의 커팅기계가 있고 붙이는 것도 기계가 따로 존재합니다. 좀 고가라서 저도 그 기계는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필자의 경우 보통 광접속이 필요한 경우는 신축건물이 들어서고 그 건물을 인터넷 연결을 할때 밖에 없습니다. 기껏해야 몇년에 한번 정도라서 굳이 기계를 구매할 필요성은 전혀 느끼지 못합니다. 그냥 잘하는 사람한테 공사 외주 맡기는 것이 훨씬 현명한 판단이 맞습니다.

이렇게 비쌉니다.

Q4: 100M 짜리로 만들어서 파는 광케이블은 없나요?

A4: 있기는 있습니다. 거의 대부분이 SC type 입니다. 그런데 구독자님께서 말씀하신 장비를 보니 광을 연결하는 포트는 LC type 이네요. 그래서 그 완제품을 구매하시는 것은 그리 현명한 판단이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앞에 광커플러를 사용해서 뒤쪽에 또 SC-LC 광케이블을 연결해야 LC - LC 타입으로 변경이 됩니다. 

100M 짜리 팔기는 하는데 SC 타입이네요.

Q5: 광케이블은 선이 완전히 꺾이면 선이 단선되나요?

A5:  예, 맞습니다. 광케이블은 아까도 말씀드렸지만 유리섬유입니다. 안에서 유리섬유가 깨져버린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럼 광케이블은 불량이 나는거죠. 그래서, 지하로 매설되는 광케이블도 꺾이지 않도록 포설하는 업체에서도 8자 모양으로 케이블을 폅니다. 그리고, 포설작업을 실시합니다. 꺾이면 외관상으로는 전혀 이상없어 보이는데 실제로는 단선난것 처럼 되어 버리니 골치가 아파집니다. 광패치코드도 마찬가지 입니다. 꺾이지 않도록 주의해야합니다. 심지어는 광패치코드의 경우에는 케이블 타이로 꽉 조이지도 않습니다.

Q6: 시스코에는 한개의 광케이블만 연결되면 되는것 같은데 (RJ 45는 한개만 연결하면 TX, RX가 다 있음) 근데 만들어져 있는 광케이블은 TX, RX 이렇게 2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시스코 SFP 연결하는 포트는 한개만 연결하면 되는거 같은 데 맞는건가요?

A6: RJ 45 Jack은 케이블이 1개로 송수신이 다 이뤄집니다. 좀 더 정확하게 말씀드리마면 RJ 45 jack 8개의 pin중에 송신과 수신을 담당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는 이야기 입니다.

 

Rj 45 pin 번호에 대한 설명입니다

RJ45를 보시면 좌측부터 시작해서 1번에서 8번까지의 PIN이 있습니다. 이 pin들이 하는 역할이 다릅니다.

1,2번 송신(주황), 3,6번 수신(주황), 4,5번 전력+ (파랑), 7,8번 전력- (갈색) 이렇게 됩니다. 그래서 케이블이 1개로 다 되는 원리가 이러합니다. 광케이블도 마찬가지 입니다. 1개의 SFP로 송수신이 다 됩니다. 상단의 스위치의 SFP 포트로 하단의 스위치 SFP 포트로 연결하면 하면 끝입니다.

1core SFP와 2core SFP의 사진

참고로 내용을 좀 더 추가하면 SFP도 1c가 있고 2c가 있습니다. core 수의 차이인데요....1C짜리로 해도 상관은 없지만 장단점이 있습니다. 1c로 하면 광코어를 줄일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1c는 비쌉니다. 그래서, 정말 광core가 모자라지 않는 다면 2c로 많이 씁니다. 스위치와 스위치를 연결할때는 케이블 1개만 연결되면 끝입니다. 송수신 분리한다고 Uplink를 2개 연결하게 되면 네트워크 합선현상 (Looping)이 일어나면 네트워크 마비로 올수 있으니 주의해야합니다.

참고로, 제 개인적인 의견을 좀 더 드립니다. 구독자님 회사의 네트워크 장비 2개를 살펴봤습니다. 2개 장비 모두다 모두 1G 장비 입니다. TP나 SFP도 모두 1G 입니다. 그래서, 굳이 비싼 광으로 연결하실 필요가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들었습니다. 차후에 10G 네트워크나 40G의 네트워크로 업그레이드 계획이 있으시다면 광으로 하는것도 나쁘지 않습니다만, 현재의 구성으로 볼때는 TP로 하나 광으로 하나 속도는 동일합니다. 그래서, 예산도 좀 생각하시는 것도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외벽으로 해서 TP로 설치를 해야한다면 주름관을 통해서 케이블(CAT6로 추천) 보호를 해주는 것을 추천합니다.

주름관을 이용한 간단한 사례 

물론, 실내로 포설하는 것을 권장하지만 어쩔수 없이 건물외벽에 설치를 해야한다면 이 과정은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주저리 주저리 글이 많이 길어졌다. 필자가 아는 부분에서 최대한 구독자님의 현실을 반영하여 글과 영상을 제작하였으며 이렇게 필자의 블로그와 유튜브에 관심을 가져주신데 대하여 정말 감사를 드린다.

https://www.youtube.com/watch?v=497L5PiLOvk

필자가 유튜브에 다시 설명을 해놓음

아무쪼록 구독자님께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오늘의 포스팅을 마친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