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광패치 코드 이야기
오늘은 필자가 각 건물이나 건물끼리 연결 or 스위치에서 서버로 연결할때 사용되는 광패치코드에 대해서 자료를 준비하였다. 예전에 비해서 광케이블의 단가가 엄청나가 낮아져서 요즘 광케이블로 연결을 많이 하는 편이다.
우선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싱글모드에 대해서 알아보자. 싱글모드는 우선 거리가 굉장히 멀리 전송되기 때문에 건물과 건물을 ...즉 Switch와 Switch를 연결하는데 사용이 된다. 즉, 이런 그림이 나온다.
그럼 지하에 매설되는 광케이블도 반드시 싱글모드의 광케이블이 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광케이블의 모드는 섞어서 사용하면 동작하지 않는다. 위 구성처럼 SFP 까지 몽땅 다 그려넣어봤다. 참고로 SFP는 스위치에 바로 장착이 가능하다.
그럼 멀티모드의 광패치코드는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아보자.
이렇게 구성된다. 서버실 내부에서 크게 거리가 멀지 않은 상태에서 바로 포설하면 끝이다. 주황색이나 회색의 피복을 가진 광패치코드도 있다. 사실상 노란색빼고는 전부다 멀티모드라고 보시면 된다.
아까 위에서 필자가 광케이블의 모드는 섞어서 쓰면 동작하지 않는다고 했다. 나머지 설명들은 영상을 통해서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EfE5DMt1yxg
아무쪼록 광패치코드에 대해서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며 오늘의 포스팅을 마친다.
728x90
반응형
LIST
'각종 케이블 및 제작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플러 없이 네트워크 케이블 초간단 연장 (1) | 2023.10.04 |
---|---|
메뚜기(심선 접속자 방수형 vs 비방수형) 비교 (1) | 2023.09.28 |
LAN 테스터의 응용 활용 (1) | 2023.09.06 |
UTP 케이블 CAT6 제작 [관통형 RJ 45를 일반Tool로 찍으면?] (3) | 2023.06.23 |
[구독자 요청] 네트워크 설치 질의 관련 (7) | 2023.05.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