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PF 실습2 (IP 대역 추가하기)
오늘은 필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L3 스위치에 사설IP를 서브넷팅 (25비트)하여 각각의 게이트웨이를 넣어서 실제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해볼 예정이다. 실습을 해볼 내용은 이러하다.

우선 해당 IP로 ping이 되는지 해보자. 당연히 안 간다.

작업 후에는 ping이 되어야 한다. OK?
우선 OSPF 설정을 하기 전에 2가지를 알아야 한다.

우선 위 대역에서 192.168.100.0/24 인데 2개로 분리해서 192.168.100.1과 192.168.100.129로 게이트웨이로 선언을 하라고 하였다. 즉, 25비트로 2개로 분리해서 설정을 해보라는 이야기가 되겠다.
그렇다면 서브넷팅을 먼저 해보자.
1그룹: 192.168.100.0/25
IP 범위는 192.168.100.0 ~ 192.168.100.127까지 총 128개가 된다.
네트워크ID: 192.168.100.0
브로드캐스트: 192.168.100.127이 된다.
서브넷마스크는 25비트이므로 255.255.255.128 이다.
2그룹: 192.168.100.0/25
IP 범위는 192.168.100.128 ~ 192.168.100.255까지 총 128개가 된다.
네트워크ID : 192.168.100.128
브로드캐스트: 192.168.100.255
서브넷마스크는 25비트이므로 255.255.255.128 이다.
자...여기에서 서브넷 마스크를 와일드카드 마스크로 바꿔서 작업을 해야하는데 OSPF는 NAND 게이트라서 서로 반대라고 생각하면 되는데....어려워하지 말고 필자가 알려준 공식을 대입해보자.
와일드 카드 마스크에 대해서 알아보자
와일드 카드 마스크에 대해서 알아보자 오늘은 필자가 와일드 카드 마스크에 대해서 알려드리고자 한다. 옛날의 개발자들은 그 당시의 하드웨어 속도를 고려하여 개발을 했으니 필요한 비트만
tech-network.tistory.com
위 표를 눌러보시면 와일드 카드 마스크를 공식에 의해서 아주 쉽게 구할 수 있다.
각 1그룹과 2그룹은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0 인데 공식에 대입해보면 0.0.0.127이라는 것을 알수 있다.
정리를 하자면 이렇게 된다.

실제 실제 스위치에 접속해서 1그룹과 2그룹을 설정해보면 되겠다.
스위치에 접속을 해보자.
sh run을 이용해서 기존 switch의 config를 백업받자.

이걸 text로 백업을 받아보자

이제 실제 장비에서 config를 하지말고 text에서 작성을 해보자.
먼저 메모장에서 text로 VLAN에 대한 설정을 해주자.

text로 작성하였기에 매우 안전하다. 실수해도 상관없다.
이젠 OSPF에서 작업을 해보자. 같은 메모장이다.

이렇게 text에서 작업하는 것을 필자는 굉장히 권장을 한다. 아무리 잘한다고 해서 실제 장비에서는 바로 하시지 말라.
이제 기존의 config를 메모장에서 지워버리고 새롭게 작업할 내용만 추려보자.

이제 설정만이 남아있다. 실제 장비에 복사 ^ 붙여넣기 신공을 이용해서 설정해보자.

그럼 확인을 해야하는 것이 ping이 되는 것을 확인해보자.

이렇게 ping이 이뤄진다는 것이 추가적으로 IP 대역을 입력하는 것에 성공했다는 것을 알수 있다.
그리고, 삭제를 할때에도 마찬가지이다. 기존에 config를 text로 백업 받은 후 모든 것을 text로 작성 후 복사 ^ 붙여넣기 하시는 것을 강력하게 추천한다.
설정한 라우팅 테이블을 삭제하는 것과 상세한 내용은 필자가 제작한 영상으로 봐주셨으면 한다.
아무쪼록 도움이 되셨으면 하는 바램으로 오늘의 포스팅을 마친다.
'Cisco Switch 설정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위치에 원격 접속 시연 (ssh version2) (1) | 2025.04.10 |
---|---|
스위치 OS 백업, 삭제, 재인스톨 실습 (Cisco 2950T) (3) | 2024.12.03 |
[실전문제] 실제 L3 스위치로 네트워크 설정(OSPF + VLAN+secondary) 해보기 (7) | 2024.08.01 |
[실전문제] 실전 스위치 config 분석 (OSPF+VLAN+Secondary) (1) | 2024.07.09 |
스위치에 원격 접속 시연 (ssh version1) (1) | 2024.06.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