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isco Switch 설정방법

네이버 지식인에 이렇게 상세하게 풀어주긴 처음(1)

by 우진아빠의 네트워크 실무 2025. 5. 27.
728x90
반응형
SMALL

네이버 지식인에 이렇게 상세하게 풀어주긴 처음(1)

필자가 네이버 지식인에 도전중이다. 어느분이 질문을 주셨는데 이러하다.

이런 질문이 올라왔다

이제...필자가 풀이를 해줘야겠다.

위에 그림을 보니 우선 라우팅을 하기 전에 서브넷팅이 먼저 계산해야 합니다.

100.1.1.0/24의 망이라고 하셨습니다. 24비트네요. 즉 전체 IP 대역은 100.1.1.0 ~ 100.1.1.255까지 총 256개 의 IP가 할당됩니다. 편의상 게이트웨이 주소는 네트워크 ID 다음의 숫자로 지정하겠습니다. 보통 다 그렇게 지정합니다. ^^

여기에서 사용불가능한 IP 주소 3종세트 (네트워크ID: 100.1.1.0, 브로드캐스트 100.1.1.255, 기본게이트웨이:100.1.1.1)이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end user에게 실제로 할당이 가능한 IP는 100.1.1.2 ~ 100.1.1.254번까지 총 253개가 됩니다. 이건 서브넷팅을 하기전의 내용입니다.

이젠 서브넷팅을 좀 해봐야합니다.

각 건물마다 호스트 수가 20대, 50대, 70대라고 하였습니다.

100.1.1.0/24 전체 대역을 2개로 분리하게 되면 25비트가 됩니다.

100.1.1.0 ~ 100.1.1.127까지 128개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128)

게이트웨이주소:100.1.1.1

사용가능한 IP주소: 100.1.1.2 ~ 100.1.1.126까지

100.1.1.128 ~ 10.1.1.254까지 128개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128)

게이트웨이주소: 10.1.1.129

사용가능한 IP주소: 100.1.1.130 ~ 100.1.1.254까지

이렇게 계산됩니다. 그런데 이건 이렇게 분리하면 안됩니다. 2개로 분리해서는 3개의 네트워크 구성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아래의 그림처럼 분리하는게 가장 현명해보입니다.

그렇다면 스위치 설정으로 가볼께요. 주로 요즘은 OSPF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OSPF로 설정하겠습니다.

L3 1개에서 설정하는 것으로 하고 같은 VLAN은100으로 설정하고 area 값은 그냥 1로 하겟습니다.

L3_Switch#conftg t

L3_Switch(conftg)#ip routing (라우팅 설정)

L3_Switch(conftg)#interface Loopback0

L3_Switch(conftg-if)#ip address 1.1.1.11 255.255.255.255 (이건 임의대로 줬습니다)

L3_Switch(conftg-if)#int vlan 100 (vlan 100 진입)

L3_Switch(conftg-if)# ip address 100.1.1.1 255.255.255.128

L3_Switch(conftg-if)# ip address 100.1.1.129 255.255.255.192 sec

L3_Switch(conftg-if)# ip address 100.1.1.193 255.255.255.192 sec

L3_Switch(conftg-if)#exit

L3_Switch(conftg)#router ospf 10

L3_Switch(conftg-ospf)# network 10.1.1.0 0.0.0.127 area 1

L3_Switch(conftg-ospf)# network 10.1.1.128 0.0.0.63 area 1

L3_Switch(conftg-ospf)# network 10.1.1.192 0.0.0.63 area 1

L3_Switch(conftg-ospf)#exit

L3_Switch(conftg)#int range gi0/1 - 24 (1번에서 24번포트까지 있다고 가정)

L3_Switch(conftg-if-range)#sw mo acc

L3_Switch(conftg-if-range)#sw acc vlan 100 (1번에서 24번까지 vlan 100으로 설정)

L3_Switch(conftg-if-range)#^Z

L3_Switch# copy run start (저장)

이렇게 풀이를 해드렸다. 필자가 네이버 지식인에 이렇게까지 상세하게 풀이를 해드린 사례는 처음이라 생각한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