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전체 글948

스위치에서 web 접속 차단하기 스위치에서 web 접속 차단하기 오늘은 필자가 보안 감사에 대비하여 스위치 문제를 제작해보았다. web 접속을 차단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한번 필자 마음대로 만들어 보았다. 문제에 보면 http와 https를 모두 차단하라고 하였다. 그럼 작업을 한번 해보자. L2-Switch#config Terminal L2-Switch(config)#no ip http server http 차단조치 L2-Switch(config)#no ip http secure-server https 차단조치 L2-Switch(config)#exit L2-Switch#copy run start (저장) 이렇게 하면 작업이 종료된다. 보안상 웹접속은 차단하는 것을 추천한다. 보안감사가 나오더라도 반드시 점검을 하는 부분이며 스위치의 .. 2023. 4. 13.
공유기에 고정IP 입력하기 (고정 IP 사용하는 기관만 해당) 공유기에 고정IP 입력하기 (고정 IP 사용하는 기관만 해당) 필자가 근무하는 기관에서는 고정IP를 사용한다. 즉 자동IP (DHCP)는 아니라는 뜻이다. 그게 무슨 말이냐면 고정IP를 사용하는 기관에서는 PC에 고정IP를 입력해야 한다. 그럼, 공유기는 어떨까? 공유기에도 그 기관에서 사용하는 IP를 입력해야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야기이며 공유기에 IP를 넣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제조사 마다 사설IP 대역이 다르기 때문에 필자의 경우에는 iptime 제품군을 사례로 들었다. 우선, 유선으로 결선을 해야한다. 무선으로도 가능하지만 저장하는 순간에 세션이 끊어져서 다시 접속하려면 불편하다. 그래서 필자의 경우에는 반드시 유선을 추천한다. 명령프롬프트를 실행해서 공유기가 만들어주는 IP를 확인하고 게이트웨.. 2023. 4. 13.
[추억의 박물관] - 구형 NIC (100M 랜카드)-PCI 방식? [추억의 박물관] - 구형 NIC (100M 랜카드)-PCI 방식? NIC란? Network Interface card의 약어로써 흔히 말하는 LAN 카드를 말합니다. 예전에 사용했던 랜카드중에 100M 급을 발견해서 사진을 찍어뒀다. 오...완전 골동품 예전에 이런 랜카드 드라이버를 세팅하기 위해서 플로피 디스크를 사용했던 기억도 새록새록 난다. 중간에 플로피 디스크가 파손되어서 특정파일이 복사가 안되서 정말 열받았던 안 좋은 기억도 나고...ㅠㅠ 그 당시에는 100M 급 네트워크만 되어도 우와...이랬는데 지금 보니까 우습다. 그때 리얼텍 8139C 칩이 굉장히 유명했었는데...지금 보니까 예전 생각에 잠시 잠겨본다.. 요즘은 전부다 메인보드 내장형에 기본적으로 1기가 급은 장착되어서 나오니까 이런 .. 2023. 4. 12.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Drag & Drop 문제 - 통신포트 선택 [문제복원]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Drag & Drop 문제 -  통신포트 선택오늘은 필자가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문제인 Drag & Drop 문제 -  통신포트를 풀어드리기 위해서 시간을 내었다.일단 거두절미하고 문제부터 살펴봅시다.일단 앞에 파란색으로 되어 있는 숫자를 살펴보자. 25, 80, 22, 69, 53, 161로 되어있다.조금 공부를 하신 분들이라면 대충 예상이 갈꺼다. 일단 TCP/UDP 통신을 위한 포트라는게 힌트이다.자...그럼 순서대로 살펴보면 TCP/25는 SMTP - e메일 사용시 다른 사용자에게 메일을 발신하는 프로토콜이다.TCP/80은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기본포트이다.TCP/22는 네트워크상의 다른PC로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상에서 명령시 보안적으로 통신이 되.. 2023. 4. 12.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단답형 (tracert) [문제복원]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단답형 (tracert) 오늘은 필자가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문제 단답형 문제인 tracer를 가지고 왔다. tracert 명령어 같은 경우에는 제법 생각보다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아마 필자도 가장 많이 쓰는 명령어 중에 하나가 아닐까 싶다. 일단 거두절미하고 문제를 살펴보자. 필자 나름대로는 최대한 비슷하게 만들어봤다.일단 어떠한 경로를 타고 해당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보여주는 명령어인데 windows의 경우에는 tracert가 되고 리눅스의 경우에는 traceroute가 된다. 헷갈리지 마시기를....만약에 여기에서 traceroute를 쓰게 되면 틀린다는 이야기가 된다.제 유튜브 구독자님께서 질문을 주신 부분이라서 캡쳐해서 올려드린다. 필자가 보기에는 .. 2023. 4. 11.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단답형 (ping) [문제복원]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단답형  (ping)필자가 어김없이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문제 단답형 ping을 가지고 왔다.ping 명령어 같은 경우에는 뒤에 -t 나 -n 등 여러가지 옵션을 붙여서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아마 필자도 가장 많이 쓰는 명령어 중에 하나가 아닐까 싶다. 일단 거두절미하고 문제를 살펴보자. 필자 나름대로는 최대한 비슷하게 만들어봤다.일단 문제를 보니 ping을 보내서 TTL 반응이 있는것으로 보인다. 앞에 (A)에 들어갈 명령어는 당연히 ping 이다. 이것 말고는 답이 없다. 아...그리고 참고로 대소문자는 구별하지 않는다. 아무거나 사용해도 되지만 가급적이면 필자는 소문자를 권장한다. 왠만한 명령어는 거의다 소문자로 되어있기 때문에 소문자로 하면 틀릴 염.. 2023. 4. 11.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