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복원]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Drag & Drop 문제 - 통신포트 선택
오늘은 필자가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문제인 Drag & Drop 문제 - 통신포트를 풀어드리기 위해서 시간을 내었다.
일단 거두절미하고 문제부터 살펴봅시다.
일단 앞에 파란색으로 되어 있는 숫자를 살펴보자. 25, 80, 22, 69, 53, 161로 되어있다.
조금 공부를 하신 분들이라면 대충 예상이 갈꺼다. 일단 TCP/UDP 통신을 위한 포트라는게 힌트이다.
자...그럼 순서대로 살펴보면
TCP/25는 SMTP - e메일 사용시 다른 사용자에게 메일을 발신하는 프로토콜이다.
TCP/80은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기본포트이다.
TCP/22는 네트워크상의 다른PC로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상에서 명령시 보안적으로 통신이 되도록 하는 프토토콜 즉, SSH를 말한다.
TCP/69는 네트워크 장비간에 파일 전송을 위한 기술이며 FTP 보다 간소화된 버젼인데 실제 Cisco 스위치의 IOS 이미지를 백업 받거나 업로드할때 쓰이는 통신 포트이다.
UDP/53은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서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즉, DNS를 말한다.
TCP/161은 IP 기반 네트워크상의 각 호스트로부터 정기적으로 여러 관리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거나 실시간으로 상태를 모니터링 및 설정할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즉, SNMP를 말한다.
이렇게 정답을 풀어낼수가 있다. 위 문제처럼 Drag & Drop을 하게 되면...이렇게 정답이 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필자가 제작한 PPT 파일을 올려드릴테니 꼭 연습하시기를 바랍니다.
아...그리고 시험에는 안 나왔지만 꼭 알아둬야할 포트를 추가로 설명해드린다.
TCP/443 (HTTPS): 보안이 적용된 인터넷 사용을 위한 포트
TCP/23 (Telnet):네트워크상의 다른 PC로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상의 명령시 비암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토토콜
TCP/110 (POP3): e메일 사용시 다른 사용자에게 메일을 수신하는 프로토콜
TCP/21 (FTP): 서버와 PC간에 파일을 주고 받는 프로토콜
TCP/3389 (터미널서비스): 원격데스크탑 공유를 위한 프토토콜
꼭 알아두시라...이건 규격으로 정해져 있으니 외워야 한다. 필자도 외웠음.
https://www.youtube.com/watch?v=PvabUSQY98M
오늘의 포스팅을 마친다.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필기,실기) > 단답형 및 선택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문제 단답형 - OSI 7계층(1) (1) | 2023.04.16 |
---|---|
네트워크 관리사 2급실기문제 단답형 (getmac) (1) | 2023.04.16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단답형 (tracert) (1) | 2023.04.11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단답형 (ping) (1) | 2023.04.11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단답형 (RIP) (3) | 2023.04.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