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필기,실기)/서브넷 마스크 및 IP address (필기,실기)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필기] 서브넷팅 및 IP address 풀이 (09) #ICQA #2024. 2. 25 #2024. 5. 19

by 우진아빠의 네트워크 실무 2024. 11. 2.
728x90
반응형
SMALL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필기] 서브넷팅 및 IP address 풀이 (09) #ICQA #2024. 2. 25 #2024. 5. 19

필자는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문제만 계속 풀이를 해오다가 필기에서도 수검자분들이 서브넷팅이나 IP 주소등에 대해서 굉장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특히 서브넷팅이나 IP 주소에 대한 문제가 나오면 처음부터 포기하고 찍기를 하신는 분들이 제법 있는 줄은 알고 있었지만 이렇게 심각할 줄은 정말 필자도 몰랐었다. 실기에 비해서 필기는 그렇게 난이도가 높은 편은 아니지만, 어치피 반드시 이해를 해야할 부분이라 생각해서 필기중에서 특히 서브넷팅 및 IP에 대한 문제만을 골라서 풀이를 해드릴려고 한다.

먼저...문제를 살펴보자.

255.255.255.224인 서브넷에 최대 할당 가능한 호스트의 수는 몇 개인지를 물어보는 문제이다.

우선 C class인 255.255.255.0의 특징을 먼저 살펴보자. 서브넷팅을 안 했다는 이야기이다. 총 256개의 IP (0 ~ 255)가 있으며 실제 할당 가능한 호스트는 네트워크 ID (0번) 와 브로드캐스트( 255번) 를 제외하면 254개가 되겠다.

이젠 문제인 255.255.255.224를 살펴보자. 서브넷팅을 했다. 그럼 몇개인지 알아야한다. 256 - 224 = 32개의 IP를 가지고 있다고 보시면 된다. 총 IP 수량이 32개이므로 여기에서도 할당이 불가능한 네트워크ID와 브로드캐스트를 제외해야 한다.

즉 30 - 2 = 30개가 된다. 그래서 정답은 30개이다.

다음 문제를 살펴보자.

보기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을 고르라는 것이다.

딱봐도 1번이 보인다. 무조건 틀렸다. 이유를 살펴보자. A, B, C Class 대역의 IP address는 모두 같은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한다고 했는데. 이건 틀렸다. 이유를 살펴보자.

A class는 255.0.0.0 이다  B class는 255.255.0.0 이다.  C Class는 255.255.255.0 이다. 이게 같은가? 당연히 다른다. 다른 보기는 다 맞는 이야기 이므로 살펴볼 필요가 없다.

다음 문제를 살펴보자.

192.168.100.128이 네트워크ID라고 했다. 즉, 192.168.100.128부터 시작을 한다는 이야기인데 몇개를 counting 해야하는 모른다. 즉, 끝을 모른다는 이야기이다. 그런데 힌트가 있다. 255.255.255.192라고 했으니 이걸로 추정이 가능하다.

256 - 192 = 64개가 된다. 64개만 카운팅을 해보라는 이야기이다. 실제로 counting을 해보면 128에서 시작해서 191까지 셀수 있다. 즉 192.168.100.128 ~ 192.168.100.191까지 전체 IP 범위라는 뜻이다. 

위 문제에서 사용 가능한 마지막 IP 주소라고 했으니 실제로 할당 가능한 IP는 네트워크 ID와 브로드캐스트를 제외하라는 의미가 된다. 즉 192.168.100.129 ~ 192.168.100.190까지가 된다. 즉, 사용 가능한 마지막 IP 주소는 192.168.100.190 이다. 이 문제는 굉장히 잘 출제된 문제라고 보인다.

다음 문제를 살펴보자

전에...필자가 C class에서 6개의 네트워크를 구분하여 사용할때 서브넷 마스크 값에 대한 문제를 풀이해드린 적이 있다.

C class의 경우에는 255.255.255.224가 되겠다. B class의 경우에는 앞 단위만 하나 땡겨주면 된다. 즉 255.255.224.0이 된다.

상세한 내용은 필자가 제작한 영상으로 봐주셨으면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99Lhjk7xIng&feature=youtu.be

아무쪼록 합격하시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하는 바램이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