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장애처리(트러블슈팅) 사례

[구독자 요청] 공장 네트워크 장애처리 협조 요청

by 우진아빠의 네트워크 실무 2023. 9. 11.
728x90
반응형
SMALL

[구독자 요청] 공장 네트워크 장애처리 협조 요청

오늘은 필자가 구독자님 요청에 대비해서 글과 영상을 제작을 해봤다. 휴일이지만 이 분도 필자와 같은 네트워크 관련 업종에 계신분이고 공장에서 장애가 나서 곤란을 겪으시는 것으로 보였다. 정말 안타까우면서도 마음이 아프다. 윗선에서 전산 안된되고 얼마나 구박을 할지....ㅠㅠ 안봐도 비디오다. 

필자의 유튜브에 올라온 글이다

구독자님의 글을 살펴보면 공유기때문에 IP가 역류가 한다고 호소를 하셨다. 충분히 이해한다. 이와 같은 유사 사례를 필자의 후배 사무실에서 생긴 사례가 있어서 거기에 댓글이 달렸었다.

우선 필자가 보기에는 크게 2가지의 영향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첫번째: 구독자님 말씀대로 ip공유기의 ip 역류현상 

물론 옳으신 말씀이시다. 그런데 어디에서 올라오는지 찾으시는데 곤란을 겪는 듯 하다. 

두번째: 필자의 의견은 Looping (네트워크 합선현상)으로 생기는 현상 

물론 둘다 맞을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이 놈을 찾아야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하루 빨리 원인을 일으키는 기기를 제거해서 하루 빨리 업무 정상화가 되기를 간절히 바라는 것은 구독자님이나 필자나 똑같은 마음이라고 생각한다.

문제가 있는 범인 빨리 찾기

우선 구독자님의 노트북만 메인 L2 스위치에 물려놓고 나머지 선로를 다 뽑습니다.

필자가 간략하게 그려봤습니다

각 팀(A,B,C,D)별로 네트워크가 분리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어느 팀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찾는 것이 핵심이다.

혼자서만 물려놓으면 당연히 혼자만 네트워크가 될것이다.

이렇게....

그림 1. ping이 된다는 것이 인터넷이 된다는 것이다

그럼..전부다 각팀에 해당하는 간선을 뽑아놓은 상태에서 반드시 순서대로 해야한다. 그리고, 한 팀씩 해봐야한다. 

그럼 A팀만 해당하는 간선만 연결해보자. 약 5분정도 놔둔다. 이상이 없다면 구독자님의 저 위의 ping이 전혀 이상이 없을 것이고 문제가 있다면 ping이 막 끊어지기 시작한다.

그림2. 문제가 발생하면 이렇게 ping이 빠지거나 깨진다

A가 이상이 없다면 위 그림1과 같고, 문제가 있다면  그림2와 같이 된다. 이상이 없다고 가정하에 다시 B팀으로 해보자. 이걸 계속해서 반복을 한다. C 팀에서 문제가 있다고 가정을 해보자. 

그럼, A, B. D팀만 연결해서 일단 공장의 네트워크를 정상화 시키고 C팀에 방문을 하자. 그리고 C팀에 해당하는 HUB나 공유기를 찾아야한다. 그건 PC에 있는 선을 쭉....따라 가면 된다. 구석에 쳐박혀 있을때도 있고 천정에 숨겨놓는 경우도 있다. 무조건 찾아야 한다. 좀 고생스럽지만....ㅠㅠ

우선 찾았다고 가정하고 거기에서 메인 선로만 제외하고 모든 선로를 다 뽑자. 그리고, 구독자님의 노트북만 연결해서 ping이 정상적으로 되는지를 확인해야한다. 잘 된다면 C팀 내부에서 문제를 일으킨다는 100% 증거이다.

그럼 PC 하나씩 찾아서 해당 선로를 1포트씩 살살 연결해주면 된다. 예를 들어서 C팀에 3대가 있는데 선로가 원래는 4개가 되어야 한다. 왜냐면 PC 3대용 3포트사용, 1포트는 Uplink라고 보시면 된다. 만약에 선로가 더 있다고 하면 그 선로를 테스트 해봐야한다. 네트워크 합선 Looping 일 확률이 매우 높다. 라인테스터로 꼭 테스트를 해보기를 권장함

만약에 그렇게 되어 있지 않고 선로의 수량이 맞다면 공유기의 설정이 잘못된 것이다. 로그인 관련 보안설정이 되어 있다면 공유기 초기화해서 다른 IP 대역으로 재설정을 권장한다. 

이처럼 네트워크 관련으로 장애처리는 어느 정도 노하우를 요구하며 네트워크 관리자의 허락없이 마음대로 설치나 설정을 하였다가 장애가 발생한다면 대부분의 user들이 난 몰랐는데요...어떻게 하라고요? 이런 소리가 나오면 정말 쌍욕을 시전하고 싶다.

필자는 현재 25년의 현직 네트워크 엔지니어이며  대규모의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다. 계속 늘어나서 힘듬. ㅠㅠ  현재 필자가 운영하는 IP 수량만해도 C class 40개 (IP는 약 10,000개)이며 필자 나름대로 장애처리 노하우를 알려드릴려고 오늘 글을 써봤다. 필자의 작은 힘이나마 구독자님께 전달해드리고 싶은 간절한 마음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G0KRxmDiTN8

아무쪼록 공장의 네트워크가 하루 빨리 정상화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며 더 이상의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에서 오늘의 포스팅을 마친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