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isco Switch 설정방법

Cisco 6509G 백본 스위치 조립 (전원-파워서플라이)

by 우진아빠의 네트워크 실무 2023. 11. 14.
728x90
반응형
SMALL

Cisco 6509G 백본스위치 조립 (전원-파워서플라이)

오늘은 필자가 Cisco 6509G 백본 스위치 조립을 준비해봤다. Cisco 6509G...필자가 ATM망에서 Giga 망으로 전환하는데 혁혁한 공을 세운 장비이기도 하다. 처음에 봤을때 그 엄청난 덩치부터.... 

이렇게 생겼다.

Cisco 6509G의 사진이다.

정말 크다. 높이가 1m를 초과한다.  그럼 재원을 한번 살펴보자.

Cisco 6509G의 제원을 보여준다 (이미지출처: Cisco)

그 당시에만 하더라도 모든 포트가 1G를 지원하고 필자가 근무하는 모든 건물의 광케이블을 받아서 전송하는 장비가 이 제품이었으니 이 장비에 대한 필자의 애착이 더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처음에 켜면 장비 가동하는 소리가 장난이 아니다. 차즘 조용해지는데도 불구하고 상당한 소음이 유발된다. 비록 오래된 장비이긴 하지만 고장난 것은 아니고 딱히 이렇게 큰 장비를 일반 건물에 놓기에는 너무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관계로 적당하지는 않다고 본다. 그리고, 가장 큰 결정적인 이유가 10G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이 치명적이다.  요즘 나오는 C9300만 되어도 다 10G를 지원하는데 이 장비는 아쉽게도 10G를 지원하지 않는것이 아쉽다. 그래서, 안에 설정을 모두 다 삭제하고 폐기하는 것이다.

우선 장비의 파워서플라이를 장착해보자.

이렇게 장작전의 사진이다.

그럼 파워서플라이를 한번 장착해보자. 장비의 안정성을 위해서 전원도 이중화로 구성되어 있다. 파워서플라이는 이렇게 분리형이 된다고 보시면 된다.

파워서플라이를 장착하는 필자의 모습이다

이렇게 파워를 밀어넣으면 자동으로 장착이 된다.

파워서플라이를 1개만 장착해봤다

여기에서 좀 재미있는 것이 있는데 전원스위치를 보면 0 과 1이 있다. 

물론 0이 꺼진 상태이고 1은 켜져있다는 뜻이다.  이것도 안전을 위해서 숨겨진 기능이 하나 있는데 0 일때는 파워서플라이가 빠지고 1일때는 절대로 빠지지 않는다. 전원이 켜져있을때는 제거하지 못하게 하는 안전 장치라고 보시면 되겠다.

파워서플라이를 2개 다 설치해봤다.

가동되는 중간에 전원이 하나 고장나더라도 안정화를 시키는 것이 전원 이중화라고 보시면 되겠다. 비록 오래된 장비이긴 하지만 필자가 정말 애착을 많이 가졌던 장비중에 하나라고 보시면 되겠다. 아직까지도 정상 가동이 되는 제품이라서 좀 아깝긴 하지만 제품은 이렇게 만들어야한다고 생각한다. 한번 구매해서 정말 느려서 못 쓸때까지 가동이 되는 제품....

Cisco 제품은 필자가 여러가지 네트워크 장비를 많이 만져봤지만 딱 하나의 단점이 존재하는데 비싸다는 점 이외에는 정말 돈 가치는 하는 제품이라고 생각한다. 관리자 입장에서는 조금 비싸더라도 고장이나 장애를 일으키는 장비는 정말 싫어한다. 한번 설치하고 크게 문제 없이 잘 돌아가는 장비를 선호한다. 다들 아시다시피 요즘 전산 안되면 다들 손가락 빨고 있는 지라 그냥 업무마비라고 보시면 된다.

상세한 내용은 필자가 제작한 영상으로 봐주시면 되겠다.

https://youtu.be/IyOEr7U_aHs

아무쪼록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서 오늘의 포스팅을 마친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