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기] 실제 장비와 에뮬레이터의 차이점 [interface 명령어 - secondary]
오늘은 필자가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문제 interface에 secondary 적용에 대하서 글을 적어본다.
전에 한번 네트워크 관리사 관련으로 이 문제를 풀어드린적이 있는데 실제 장비와 에뮬레이터의 차이점을 보고 싶다는 구독자님이 계셔서 간만에 Cisco 2511 라우터 (현재 20년째 보관중)를 꺼내게 되었다.
일단 문제를 살펴보자.
이건 이전에 필자도 한번 풀어드렸던 문제이다. 필자의 블로그에도 보니까 있더라. 하지만, 반복학습은 필자도 중요하게 생각하는 바라서 다시 글을 써드린다. 구독자님들의 실력이 향상된다면 필자는 10번이라도 같은 글을 쓸 용의가 있다.
좌측이 에뮬레이터 프로그램이고 우측이 필자가 실제 console로 연결한 Cisco 2511 라우터이다.
우선 문제풀이를 먼저 해보자.
Router>enable
Router#conf terminal (전역설정모드로 진입)
Router(config)#int serial 2/0
(serial 2/0에 진입하였다, 약어를 써도 전혀 상관없다. 참고로 필자는 약어를 좋아함 ^^)
Router(config-if)#no shutdown
(반드시 no shutdown을 해줘야 한다. 문제에 조건이 있던 없던간에 해주는 것이 정신건강에 이롭다.)
Router(config-if)#ip address 192.168.0.101 255.255.255.0 (IP 입력)
Router(config-if)#ip address 192.168.0.102 255.255.255.0 secondary (IP를 추가할때 secondary를 쓴다)
Router(config-if)#exit
Router(config)#exit
Router#copy run start (저장)
이렇게 하면 정답이다.
그럼 영상에서 상세하게 설명을 드릴예정이니 영상으로 봐주시면 감사하겠다.
https://www.youtube.com/watch?v=Cqau6Q_XNbI
오늘의 포스팅을 마친다.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필기,실기) > Router 설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우터 OSFP 설정(01) (8) | 2023.07.27 |
---|---|
라우터 접속 계정 설정 (01) (2) | 2023.07.26 |
[비교하기] 실제 라우터 및 스위치 VS 에뮬레이터 (gateway 설정하기) (1) | 2023.06.12 |
라우터 접속 관련 명령어 모음4 (ssh) (3) | 2023.06.11 |
라우터 접속 관련 명령어 모음3 - console (5) | 2023.06.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