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필기,실기)/Router 설정

[논란종결]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라우터] console 설정 login ???

by 우진아빠의 네트워크 실무 2024. 6. 25.
728x90
반응형
SMALL

[논란종결]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라우터] console 설정 login ???

요즘 논란이 있는 라우터 console 설정에 대해서 조금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예전의 문제 같은 경우에는 

예전에는 이렇게 나온거 같다.

그냥 콘솔포트에 password 설정만 하는 문제인것 같다. 이렇게 하면 config는 이렇게 하면된다.

이렇게 설정하면 된다.

여기에서 login을 하던지 안하던지 채점에는 상관이 없다. 왜냐하면 그냥 console password만 설정하라고 했으니까...

이제는 문제가 이렇게 좀 변경된 것 같다.

요즘은 이렇게 나온다고 했다

문제를 자세히 살펴보자. 콘솔로 접속할때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설정을 해보시오라는 뜻이다.

이 이야기는 접속을 끝고 재연결했을때 비밀번호를 물어보도록 설정을 하라는 이야기와 동일하다.

그래서 반드시 login을 넣어줘야만 비밀번호를 물어본다. login을 안 넣게 되면 비밀번호가 설정이 되어있지만 비밀번호 없이 그냥 통과가 된다는 뜻이다.  그럴 바엔 왜 비밀번호를 설정하냐고?

그래서, 전에 필자가 항상  interface에 진입하면 습관적으로 no shutdown을 반드시 하라고 했고, line console 0나  line vty 0 4에 진입하면 반드시 login을 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한 적이 있다. 이번에 ICQA에서 출제된 문제는 굉장히 실무적으로 변경된 문제라고 생각한다. 당연히 이렇게 하는 것이 옳다.

네이버 카페에 보니까 이 login 관련으로 논란이 있던데, 결론부터 이야기 하면  login 안 했다면 틀린것이다.  더 이상 이런것에 대해서 논할 가치가 없다고 생각한다. 그냥 좀 기본에만 충실했다면 무조건 맞출 수 있는 문제인데 안 한것은 수검자 본인이고 결과적으로 보면 틀린것이 맞기 때문에 오답처리가 아주 합당한 처사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렇게 해야만 정답이다.

이렇게 하면 정답이다.

필자가 실제 Cisco 2501 라우터를 간만에 꺼내서 실제로 login을 넣었을때와 안 넣을때의 차이점을 유튜브 영상으로 만들어뒀으니 상세한 내용은 필자가 제작한 영상으로 봐주셨으면 한다.

https://youtu.be/n6H2YcqI_GU

필자가 제작한 영상이다.

이제 기본에 좀 충실하자. 필자가 시키는 대로만 했다면 무조건 맟추는 문제인데 몰라서 틀린게 아니라 방심해서 틀린것이다.. 에고...안타까움...오늘의 포스팅을 마친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