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필기,실기)/서브넷 마스크 및 IP address (필기,실기)

네트워크관리사 2급실기문제 서브넷마스크 (엑셀계산)

by 우진아빠의 네트워크 실무 2022. 11. 1.
728x90
반응형
SMALL

[문제복원] 네트워크관리사 2급실기문제 서브넷마스크 (엑셀계산)

서브넷 마스크 문제는 반드시 알아야하는 필수 과정이며 나중에 네트워크ID나 게이트웨이를 구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사항입니다. 상세한 사항은  유튜브에 설명을 봐주시고, 사용된 엑셀 서식은 업로드 해드립니다.

IP 및 서브넷마스크 계산.xlsx
0.17MB

서브넷 마스크를 이해하려면 먼저 비트수에 대해서 이해를 해야한다.

가령 흔히 쓰는 24비트라는 것이  0과 1로 나타내게 되면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으로 표현된다.

그럼 24비트는 맨 앞에 1을 기준으로 2^7로 표현이된다.

2^7 + 2^6 + 2^5 + 2^4 + 2^3 + 2^2 + 2^1 + 2^0 으로 표현이 된다는 의미이다. 즉 계산을 해보면 128 + 64 + 32 + 16  + 8 + 4 + 2 + 1 = 255로 계산이 완료된다.

그래서 24비트의 서브넷 마스크를 10진수로 변환하게 되면 255.255.255.0이 된다. 이거 절대로 외우는거 아니다. 절대로 이해를 해야한다. 그래서 IP 기본 갯수가 C 클래스를 기준으로 환산이 되며 0~255까지 256개의 IP가 사용가능하다. 그런데 여기에서 주의할 사항이 0과 255는 브로드캐스트영역이라고 해서 네트워크를 분리하는 영역이 존재한다. 그래서 0과 255는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사실상 1에서 254까지 사용이 가능하다고 보면된다. 총 254개 사용가능

25비트의 경우를 한번 들어보자. 25비트를 0과 1로 나타나게되면 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 으로 표현된다.

그럼 25비트의 경우에는 255.255.255.128로 표현이 되며 C 클래스를 1/2로 나눴다는 이야기가 된다. 그럼 IP 수량은 128개가 된다는 이야기다.

26비트의 경우에는 26비트를 0과 1로 표현하게 되면 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 으로 표현된다.

그럼 26비트의 경우에는 255.255.255.192로 표현되며 25비트를 다시 1/2로 나눴다는 이야기로 표현할수 있다.

각 비트수를 하나씩 나눌때 마다  사용가능한 IP 수량은 줄어들게 되며 나눌수록 브로드캐스트 영역이 많아지기 때문에 서브네팅을 많이 하면 할수록  관리자는 계속 계산을 해야하며 IP는 버리는게 점점 많아진다. 그렇다고 서브넷팅을 안 할수는 없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60명에서 절대로 늘어날수 없는 구조인데 C 클래스를 통으로 줘버리면 254개의 IP에서 60개를 뺴면 194개의 낭비하는 셈이 된다. 이런 경우에는 서브넷팅을 해서 어쩔수 없이 26비트로 나눠주는게 IP 관리에 있어서 효율적이라고 볼수 있다.  26비트는 할당 가능한 IP 수량이 64개 이므로 적당히 잘랐다고 볼수 있다.

침고로 주의할 점은 서브넷팅하기전에 반드시 호스트의 수가 몇개인지 계산후에 작업해야한다. 나중에 잘못 자르게 되면 합쳐야 하는데 그렇게되면 end user의 IP 및 게이트웨이 몽땅 다 뜯어고쳐야 하니까 힘들어진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