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 네트워크 설정 12편(29비트)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 네트워크 설정 12편 (29비트)
오늘은 필자가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문제에 출제되었던 문제(네트워크 29비트)를 풀이를 해들려고 한다. 필자나름대로 문제를 복원해봤다. 일단 문제를 살펴보자.
기억나는대로 복원해봤는데 정확한 IP 맞는지는 잘 모르겠다. 뭐...상세한 IP 주소가 중요한게 아니라 문제를 푸는 원리가 훨씬 중요하다.
192.168.100.56/29에서 가장 중요한 숫자는 56과 29가 되겠다.
29는 필자가 앞에서도 몇번 이야기했다시피 비트수가 된다. 즉 29비트란 뜻이다. 1이 29개
11111111. 11111111. 11111111.11111000 이렇게 2진수로 변환이 가능하다.
255.255.255.248로 나타난다. 다시 여이게서 248이 핵심이 된다.
C class에서 IP 갯수가 256개 이므로 256-248 = 8개이다. 즉, 8개를 기준으로 서브넷팅했다고 보시면 되겠다.
그런데, 여기 문제에서 56이 네트워크 주소(ID)라고 친절하게 가르쳐주고 있다. 아이고 고마워라...땡큐다.
즉 저 숫자를 대장(시작)으로 해서 8개만 세어보면 된다.
56(시작), 57, 58, 59, 60, 61, 62, 63(끝) 이렇게 8개의 숫자가 열거된다.
즉, IP 전체범위는 192.168.100.56 ~ 192.168.100.63까지이다. 전에도 필자가 매우 강조했듯이 IP 할당 불가 3종세트 아시죠? 이젠 정말 틀리지 맙시다. 꼭 아셔야 합니다.
56번(네트워크 ID-시작)과 63번(브로드 캐스트-끝)은 IP 할당이 불가능하다.
즉 할당 가능한 IP 대역은 57번 ~ 62번까지가 되는데.... 문제 조건을 살펴보면
맨처음 숫자를 IP주소로 설정, 맨마지막 숫자를 GW로 설정하라고 했으니
IP는 192.168.100.57 GW: 192.168.100.62가 되겠다. 서브넷은 255.255.255.248이 된다.
상세한 내용은 필자가 제작한 영상으로 봐주셨으면 한다.
서브넷팅은 절대로 외우는거 아닙니다. 숫자를 보시고 반드시 이해를 하셔야 합니다.
오늘의 포스팅을 마친다.